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gree that online task value and collaboration preference can predict learning engage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flipped learning. This was done in terms of both pre-class and in-class of flipped learning, which are actively applied in higher education. To this end, a survey of 220 college students taking a flipped learning class at C University in Seoul was conducted. The study’s findings showed that online task value and collaboration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while also predict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found to affect learning engagement, and was also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s of both online task value and collaboration preference in relation to learning engagement.


본 연구는 대학교육 현장에서 최근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플립드 러닝의성공적 도입을 위하여 사전학습과 교실학습 측면에서 온라인 과제가치, 협력지향성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C 대학에 개설한 플립드 러닝 수업에 수강하는 대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온라인 과제가치와 협력지향성은 각각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온라인 과제가치와 협력지향성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온라인과제가치와 학습몰입 간 관계, 협력지향성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플립드 러닝의 교수설계 관련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