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기장학, 교직전문성, 교수몰입이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자기장학이 교직전문성과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자기장학, 교직전문성, 교수몰입의 차이가 있었고, 자기장학이 교직전문성과 교수몰입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과 교수몰입에 자기장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것을 시사한다. 보육 현장에서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자기장학의 구체적 방안의 마련과 사회적·국가적 지원이 더욱 요구되고 보육교사의 자기장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노력들이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elfsupervisio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flow depending on child care teacher’ personal background. It also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teacher’s self-supervision on their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flow.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33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Kyunggi area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Scheffé’s post hoc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is. Consequently the study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self-supervisio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flow depending on the personal background of child care teachers. It also revealed that the self supervision was the important factor markedly influencing o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flow. It implies that self-supervis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f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concrete methods of supporting the self-supervision based on social and national organiz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 teachers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