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루카치의 ‘물화’ 개념은 프랑크푸르트학파에 의해 주도되어 온 사회비판이론의 주요 테제 중의 하나이다. 루카치는 ‘물화’를 통해 인간과 사회적 관계를 목적지향적으로 변질시키는 현상들을 면밀히 고찰함으로써 물화 현상이 역사적 주체로 인간이 현실에 참여하는 것을 흐릿하게 한다고 했다. 그러나 호네트는 이러한 루카치의 ‘물화’ 개념이 지나치게 자본주의 경제 체제 안에서의 상품물신화에 치중하고 있으며, 이를 개념상 필연적으로 주체와 객체가 분리되는 것으로 귀결시키고 있다고 비판한다. 호네트에 따르면, 물화의 원인을 단지 탈인격적 요소로 동일시하는 것은 물화의 근본적이며 다양한 원인들을 간과하는 것이다. 우리가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의 상품물신화에 대한 태도를 바꾼다고 해서 인간이 사회 안에서 주체로서 살아갈 수 있느냐에 대해서 누구도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호네트는 인간과 삶을 물화시키는 원인을 포괄적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하면서 물화적 삶이 ‘인정’을 망각하는 일과 상관있음을 주장한다. ‘인정 망각’은 한 인간을 인격적 속성을 지닌 존재로 ‘우선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 ― 이른바, ‘선행하는 인정’, ‘인정 우선성’을 거부하는 것 ― 을 말한다. 한 인간이 사회에서 자기 관계를 형성해 가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인정’이라고 할 때, 이러한 인정이 무시되고 망각되는 상황에서 교육은 제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교육이 인간을 무시하고 망각하도록 종용하는 일련의 조처로 기능할 때 그 안에서 우리는 결국 물화될 것이다. 본고는 호네트의 이러한 ‘물화’ 해석에 근거하여 한 인간이 사회 안에서 주체로서 자기 긍정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그래서 앞으로 우리 사회가 모두를 위해 좀 더 나은 단계로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인정 망각’이 교육 비판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Lukács’ theory of reification (Verdinglichung) is one of the major theses of critical social theory led by the scholars of the Frankfurt school. In terms of the concept of ‘reification’, Lukács carefully looked into the phenomena that degenerated human beings and social relationships into being goal oriented, and suggested that reification prevents humans from participating in reality as a historical subject. However, Honneth criticized Lukács’ theory of reification for being overly focused on commodity fetishism in a capitalist economic system, which inevitably led to the theoretical divis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Honneth believed that the attempt to assign the causes of reification to the depersonalized factors is to overlook the fundamental and various causes of reification. Even if we change our attitudes towards commodity fetishism in a capitalist economic system, no one can guarantee that humans will be able to live as the main agent in society. This is why Honneth referred us to some comprehensive point of view on the causes of reification of humans and life, and asserted that reification be seen to relate to the oblivion of recognition. ‘Forgetfulness of recognition (Anerkennunsvergessenheit)’ refers to the refusal of ‘preferentially’ ‘recognizing’ a human being as a being of human traits. In other words, it is the denial of ‘antecedent recognition’ and ‘priority recognition’. Considering that ‘recogni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a person to build up a relationship in society, the education system cannot but fail when the recognition is ignored and forgotten, And if education serves as a measure to disregard others and to be oblivious of their presence, human beings will ultimately end up being reified. Based on Honneth’s interpretation of ‘reification’, this study takes the ‘oblivion of recognition’ as a basis for criticizing the education system. This will lead to the experiences of self-affirmation of human beings as a main agent in society, so that the society will develop as a better place for every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