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997년 경제위기를 전후로 이혼율이 급증하였던 시대에 이혼한 한부모여성과 가족의 삶이 어떻게 구성되고 어떤 변화를 겪었는가를 당사자의 내부적 시선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녀가 영유아시기에 이혼 후 성인이 될 때까지 양육해온 이혼한 한부모여성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사회적 조건과 개인의 상호과정을 살펴보는데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인 생애사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멘델바움의 ‘삶의 차원, 전환, 적응’이라는 시간성 분석개념과 범주적 내용접근을 이용하여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997년 경제위기 이후 가부장제의 실제는 약화되고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의 균열이시작되었으며, 노동자로서의 생애전망을 초기 성인기에 구축한 여성들이 이혼을 통해 ‘새로운가족’을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사회안전망과 가족정책의 부재로 인해 노동권과양육권의 충돌이 나타났으며, 의존이 구조화되고 생계부양과 돌봄의 불안정이 지속됨을 확인할수 있었다. 또한 정상가족 신화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속에서 사회적 고립과 차별, 사회정서적, 신체적 고통을 경험하고 자녀의 성장주기에 따라 심리정서적 고통을 반복적으로 겪어야했다. 이들은 자녀독립 후 단독 가구로의 전환을 앞두고 있으나 새로운 생애 준비는 부족한상황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 정책과 다양한 가족을 포괄하는 사회정책 기조 전환의필요성을 제기하였다.


In this study, we wanted to examine the composition and changes of the lives of divorced single-parent women and their families in the era of the rapid increase in crude divorce rate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Three divorced single-parent women, whose children were raised from the time of infants to adulthood,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conducted a life history study, an optimal way of looking at social conditions and individual processes. The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endelbaum’s concept of time-based analysis and categorical content access. As a result, after the 1997 economic crisis, the reality of the patriarchal system was weakened, cracks in the male-living care model began, and the women who established their career prospects as workers in early adulthood were making up a “new family” through divorce. However, the social safety net and the lack of family policy resulted in conflicts of labor and custody, and the dependence was structured and the instability of livelihood and care continued. It also had to experience social isolation, discrimination, social sentiment and physical pain amid the myths of a normal family and patriarchal ideology, and suffer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ain repeatedly according to the child’s growth cycle. They are set to switch to child independence - single households - but lack later lifetime prepar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ed the need to change the policy of single parents and social policy that covers various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