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칠레 쿠데타는 한국 사회에 지속적이고 강렬하게 기억되고 있다. 칠레 문학에 대해서도 칠레 쿠데타 서사를 축으로 하는 독자 기대지평선이 형성되어 있을 정도이다. 그러다보니 출판사들도번역 작품을 선정할 때 칠레 쿠데타 서사의 유무를 고려하고, 전공자들도 이 경향을 굳이 배격하지않는다. 그런데 이런 현상의 뿌리는 1968년에 시인 김수영이 네루다 시를 처음으로 번역했을 때, 또그보다 먼저 찰스 라이트 밀스의 『들어라, 양키들아』를 발견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라틴아메리카를 수용하는 하나의 지적 계보, 나아가 라틴아메리카 문학을 수용하는 하나의 방식이 일찌감치결정된 것이다. 이 계보는 김남주가 이어받고 더 확고하게 가시화시켰다. 그가 1980년대의 한국 사회의 이념적 급진화를 이미 1970년대에 예비한 지식인이자 문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라틴아메리카 지식과 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1980년대에 대학 시절을 보낸 전공자들을 1960년대의 지적계보에 연결시켜 주는 가교가 된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칠레 쿠데타 서사의 선호는 단순히한국의 군부독재와 칠레의 군부독재에 대한 공통의 경험 때문에 빚어진 일이 아니라, 한국 현대사와 라틴아메리카 현대사를 동일시하는 지적 계보에서 기원을 찾아야 한다.


The Chilean coup has been remembered in Korean society with astonishing continuity and intensity. There is even a horizon of expectation for Chilean literature, which is based on the Chilean coup narrative. Therefore, the publishers also consider it when they select works to translate, and the academics don’t reject the trend. But the roots of this phenomenon date back to 1968, when Soo-Young Kim translated the poetry of Neruda for the first time, and before that, discovered Charles Wright Mills’ Listen, Yankee. A specific intellectual genealogy that embraces Latin America and Latin American literature was determined in that moment. This genealogy was taken over by Nam-Ju Kim who made it more visible. Considering that he was an intellectual and poet who had already prepared for the ideological radicaliz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1980s, he became a bridge linking the generation of 1980s to the intellectual genealogy of the 1960s when the interest for Latin American knowledge and literature was increased. The preference for Chilean coup narrative, then, is not simply due to the shared experience between the military dictatorships of South Korea and that of Chile, but rather to the intellectual genealogy of equating modern Korean history with Latin America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