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퇴계의 도덕 감정과 도덕 의지에 대한 이론으로 대표되는 사단칠정과 인심도심에 대한 논리와 함의를 고찰하여 성학실현의 이론토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단칠정은 본성이 자연스럽게 발현(性發)하는 도덕 감정(情)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논의이다. 퇴계는 고봉과의 논쟁을 통해 칠정 가운데 중절한 감정을 사단으로 간주하여 分言과 渾言의 입장에서 도덕 감정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주장하였다. 인심도심은 마음이 의식적으로 노력(心發)하는 도덕 의지(意)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논의이다. 퇴계는 문인들과 서신 교류 과정에서, 도심과 인심을 體와 用으로 규정한 관점이나, 수양공부와 무관한 이발의 마음으로만 간주한 주장을 비판하고, 分言과 合言의 입장에서 도덕 의지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피력하였다. 사단칠정과 인심도심에 대한 이중적인 이론구조는 인간 도덕 감정과 도덕의지의 본원인 理에 대한 경외인 尊理의 이상을 실질적으로 확보하는데 의의가 있다. 分言의 이론은 감정과 의지의 발생 근원에 理가 있음을 강조한 것이고, 合言의 이론은 감정의 현현과 의지의 노력이 理의 주재와 발현에 관련되어 있음을 말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the self-discipline method by considering the theory of Siduanqiqing(四端七情) and Renxindaoxin(人心道心), which are related to the theory of moral emotion and moral will of Toegye. Siduanqiqing is a discussion of the moral emotion(情) in which the human nature naturally expresses(性發). Toegye(退溪), through his argument with Gobong(高峯), regarded the a situational Qiqing(七情) as a Hunyan(渾言) and Fenyan(分言) his viewpoint on moral emotions. Renxindaoxin is a discussion of the moral will(意) that the mind consciously makes the effort(心發). Toegye criticized the point of view that defined the Renxindaoxin as Ti(體) and Yong(用) in the process of correspondence with disciples, and expressed his viewpoint on moral will from the Fenyan(分言) and Heyan(合言). The dual theoretical structure of Siduanqiqing and Renxindaoxin is meaningful in that it actually secures the ideal of Li(理), the main source of human moral emotions and moral will. The theory of the Fenyan emphasizes that there is the Li in the source of the emotion and will, and the theory of Heyan seems to be to say that the manifestation of emotion and the effort of will are related to the presiding and manifestation of the 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