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도 풍부한 자원과 개방적인 외교정책을 기반으로 하여 독립 이후 빠른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카자흐스탄은 스스로가 가진 지정학점 이점을 통해 다방향정책(Multi-vector policy)을 시행했다. 이를 통해 러시아에게만 의존하지 않고, 미국과 중국 등 여러 국가들과 협력하며 세계의 다양한 기구들에서 활동한다. 한편 최근에 국제사회는 G2로 불리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을 주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카자흐스탄도 미국과 중국의 관계 변화에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동향 속에서 우리는 카자흐스탄과 G2 사이의 외교관계와 그 방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유라시아 대륙에서 영향력을 미치려고 미국은, 주로 카자흐스탄에게 외교 및 군사적 안보를 제공하는 경향을 보인다. 미국은 중앙아시아에서 급진주의의 통제, 무기 비확산 정책, 마약 거래 단속과 같은 지원을 통해 아프가니스탄 지역 안정화를 목표한다. 그리고 미국은 NATO로서, 카자흐스탄을 통해 서구로 수출되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노선을 유지하여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고자 한다. 반면에 중국은 카자흐스탄과 인접한 지리적 특성을 잘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 정책을 실현하고자 하는 중국에게, 카자흐스탄은 서쪽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이다. 또한 육로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카자흐스탄과는 경제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이다. 중국은 이러한 경제적 관계 구축뿐만 아니라 SCO와 같은 역내 안보 기구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중국은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회원국으로 구성된 SCO에서, 자신의 일대일로 정책에 대한 협력을 통해 서로 경제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한다. 향후 카자흐스탄이 지속적인 국가 발전을 위해 미국과 중국과의 관계를 어떠한 방식으로 이어나갈 지 지역전문가들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azakhstan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since its independence thanks to abundant resources and open-door policy among Central Asian countries. It has especially implemented multi-vector foreign policy through its geopolitical advantage. It does not rely only on Russia, but works in various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with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United States aims to stabilize the Afghan region through giving support to the control of radicalism, arms non-proliferation policy, and drug trafficking crackdowns in Central Asia. It also wants to keep China and Russia in check by maintaining a stable energy supply line that is exported to the West via Kazakhstan. China, on the other hand, gains benefits from its geographical proximity to Kazakhstan. In China’s One Belt One Road policy, Kazakhstan is a bridgehead that enables China to advance westwar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recent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s a result, Kazakhstan, which has been in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G2, is apprehensive because of the damage caused by worsening US-China relation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changes in US-China relations on Kazakhsta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rection of Kazakhstan’s relations with the US and China and its foreig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