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제주4・3사건과 관련하여 직계부재 희생자에 대한 방계혈족 의례를 살펴보고 4・3사건과 관련한 기억의 연속과 배제, 단절, 변형의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가계도는 이런 기억의 연속 문제를 살펴보는데 중요한 도구가 된다. 가계도를 통해서 다세대를 거치면서 나타나는 가족 공동체의 기억 문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 과정에서 기억의 연속, 배제, 단절, 변형의 문제에 대한 방계혈족들의 의지와 노력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그 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4・3직계부재 희생자에 대한 방계혈족들의 의례로, 그 대상이 되는 희생자는 총 31명이며, 의례는 14개 사례이다. 본 연구는 의례를 수행하고 있는 방계혈족들을 직접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면담지는 의례 대상, 의례 주체, 의례 계승 과정, 의례 수행 과정, 재산 분배 등과 같은 구조화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4・3직계부재 방계혈족의 의례에서 양자들이기는 방계혈족들이 의례를 수행하고 4・3기억을 전수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었다. 배제의 측면에서는 4・3사건 당시 미혼 및 이혼 여성과 어린 아이들은 의례 대상자에서 제외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이들 여성과 어린 아이들에 대한 기억의 배제가 나타나고 있었다. 단절은 계승할 부계 남성의 부재 및 다음 계승자의 의례 허락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이 과정은 부계 방계혈족으로 계승하는 과정에서 계승할 여성혈족이 있음에도 배제함으로써 기억의 계승 문제가 약화일로를 걷고 있다. 변형은 기억의 연속을 위하여 의례를 다양한 형태로 존속시키려는 의지와 노력으로 관습적인 의례 범위를 넘어서는 양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4・3사건의 직계부재 희생자 대한 기억의 연속문제가 사회적으로 논의될 수 있는 장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ituals performed by collateral blood relatives of Jeju 4・3 victims, and to investigate issues of memory continuity, exclusion, disconnection, and transformation relating to 4・3 incident. The family tree is an important source for investigating this issue of continuation of memory. Through family trees, how the family community's memory is represented, and how collateral blood relatives cope with the issues relating to memory continuity, exclusion, disconnection, and transformation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ituals of collateral blood relatives to victims of the 4・3 incident. The total number of victims included was 31. Ritual cases were 14. We interviewed collateral blood relatives who performed the ritual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ed interviews with factors relating to ritual objects, ritual subjects, ritual succession process, ritual performance process, and property (inheritance) distribu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rituals of the 4・3 victims without immediate children, adop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erforming the rituals and transferring the 4・3 memory. In terms of exclusion, unmarried and divorced women and young children at the time of the 4・3 incident were excluded from the ritual, which resulted in the exclusion of memories for these women and young children. Disconnection was dependent on the absence of a paternal male to succeed and whether or not the next successor was willing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ritual. As female blood relatives were excluded in the process, the issue of memory is exacerbated. Transformation was a pattern that goes beyond conventional rituals with the will and effort to persist rituals in various forms for the continuation of memor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will be a place for social discussion of the continuation of memory for Jeju 4・3 victims without immediate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