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불교의 성별공성(性別空性) 개념을 중심으로, 대행선사(1927- 2012)의 젠더적/젠더초월적 특성과 그의 젠더관련 법문을 분석한다. 불교는 원리적으로는 불이(不二)사상에 근거해 차별이 없는 평등을 추구하지만, 현실적으로 한국 불교계는 매우 가부장적이고 남성/비구 중심적인전통을 따르고 있다. 한국 선불교의 전통 속에서 뛰어난 비구니에 관한역사는 보이지 않거나 가리워져 왔다. 대행선사는 여성 종교지도자로서젠더적 특성과 동시에 이를 뛰어넘는 젠더초월적 특성을 보이며, 그는남성중심적인 한국 불교에서 비구/비구니의 전통적 젠더이분법을 뛰어넘는 새로운 혁신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먼저 대행선사와 한마음선원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피고, 여성주의 불교연구의 문제의식 속에서 한국 비구니 승가 연구의 중요성을밝힌다. 이론적 배경으로, 결정론적인 젠더이분법의 허구를 드러내는 대승불교의 성별공성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대행을 바라보는신도, 기자, 비구 등을 포함한 외부자의 시선을 통해, 대행선사의 젠더적/젠더초월적 특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밝힌다. 나아가, 대행의 1980-90 년대 국내외 젠더관련 법문 분석을 통해, 깨달음에 남녀가 따로 있지 않고, 남녀의 모습은 달라도 마음은 둘이 아니기에, 상(像)에 집착하지 말라고 하는 그의 가르침의 핵심이 바로 불교의 성별공성에 대한 강조임을 밝힌다. 또한, 대행은 여성불성불론(女性不成佛論)이나 변성성불론(變性成佛論), 비구/비구니 사이의 위계나 차별 등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불이법(不二法)에 근거한 남녀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행선사는 남성중심적인 한국 불교의 전통을 넘어, 비구- 비구니를 모두 아우르는 독특한 수행공동체를 형성하고, 기존 선사와는매우 다른 새로운 선사의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아울러 대행선사의 삶과 가르침은 불교의 성별공성을 통해 젠더이분법을극복하고 남녀의 갈등과 대립이 아닌 남녀평등에 대한 새로운 사상적자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reveals Seon Master Daehaeng’s gendered/gender-transcendent characteristic, while analyzing her gender-related Dharma talks in relation to the Buddhist concept of ‘emptiness of sex/gender.’ This inquiry is important in order to examine and change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which is working on a patriarchal and male-dominated dichotomy in contradiction to the Buddhist principles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Seon Buddhist tradition, the history of prominent bhikkhuni has been erased. Seon Master Daehaeng transcends the gender dichotomy by embracing Bhikkuni and Bhikku, while establishing the new model of Seon Master beyond its masculine version. This study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of Seon Master Daehaeng and Hanmaum Seon Center, which she established.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tudying Korean Bhikkuni, by following feminist Buddhist studies. More importantly, ‘emptiness of sex/gender’ of Buddhism could reveal that the deterministic gender dichotomy is not fixed. Then, it explores that Seon Master Daehaeng’s gendered/gender-transcendent characteristic from the perspectives of outsiders, such as Buddhist believers, reporters, Bhikku etc. Daehaeng has taught that sex/gender is neither essential nor fixed, criticizing several discrimination of bhikkhuni or women. Her life and teachings can give theoretical resources, which go beyond the gender-dichotomy and the confrontational relation of sexes. Daehaeng thus opens up the new model of Seon Master in the gender-blinded Korean Buddhist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