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집밖 활동 시 불편정도와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문화여가생활 만족도가 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진행한「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력장애와 시야결손 장애가 있는 총 676명을 대상으로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시각장애인의 집밖 활동 시 불편정도와 본인이 느끼는 차별정도가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집밖 활동 시 불편정도와 본인이 느끼는 차별정도가 높아질수록 문화여가생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인의 문화여가생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각장애인의 문화여가생활 만족도는 시각장애인의 집밖 활동 시 불편정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본인이 느끼는 차별 정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인의 문화여가생활 만족도를 증진시키고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함의 및 정책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inconvenience of outside activity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fluence life satisfa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is mediated by satisfaction of culture and leisure activity of the visually impaired. This study employs the National Survey of Disabled Population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17.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676 who are visually impair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w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Sobel test.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isually impaired experiencing the inconvenience of outside activity and discrimination are likely to have lower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inconvenience of outside activity and discrimination were found to lower satisfaction in culture and leisure activity among the visually impaired. Third, we found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in culture and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visually impaired. Last,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nvenience of outsid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satisfaction in culture and leisure activity. In addition, satisfaction in culture and leisure was found to have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visually impaired.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