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강후진은 18세기 전반에 활동한 전라도 茂長縣 출신의 지식인이다. 그는 반계 유형원, 이재 황윤석 등과 더불어 호남실학자로 평가되는 인물이다. 그는 직접 발로 뛰는 상고사를 집필한 당대의 지식인으로 투철한 체험정신과 사료를 바탕으로 역사․지리․사상․언어․민속 등 다양한 분야에 저술활동을 남긴 학자로 재조명되고 있다. 특히, 그는 한국의 상고사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역사에 관하여 특이한 관점과 식견을 지녔으며, 문헌을 널리 읽고 유적을 답사하여 확인하고 기록한 저술가이자 고고학자이며, 실학자이다. 강후진의 「遊金馬城記」는 만경강 춘포 일대의 횡탄를 건너 왕궁리 유적 일대를 답사한다. 이후 미륵사지와 미륵산성, 당산과 쌍릉 등에 대한 일정을 세밀하게 적고 있다. 또한 강후진 자신의 역사적 소신을 바탕으로 답사기를 쓰고 있다. 이 책은 1738년(영조 14) 익산 금마지역을 답사한 康侯晉이 기록한 미륵사지, 왕궁리유적 등 백제유적에 대한 생생한 답사기로 사료적 가치가 크다.


The study on ‘Honam Silhak’ has been actively developed in recent years, focusing on Buan, Jeollabuk-do, which is an ideological space of Bangye, centering on Bangye Hyeongwon. In this paper, I focused on Honam Silhak scholar who wrote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through an empirical expl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archaeology. Kang Hu-jin's “Kim Kim” begins with the exploration of Kim Chang-ik, Kim Soo-bong and Iksan Choi Woong-geo. The site will be crossed by a tyranny in the Chunpo area of Mangyeong River and will be visited in the garden sites of Wanggumseong (Wanggungri) and the Ogeumsanseong area. He also writes a book of exploration based on his historical conviction. This book is a vivid exploration of Baekje ruins such as Mireuksaji and Wanggungri ruins recorded by the Expedition of Iksan Geumma area in 1738 (Yeongjo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