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잡동산이』는 安鼎福(1712∼1791) 집안에 전하는 것으로, 다양한 성격의 방대한 문헌이 抄集되어 있다. 본 논문은 그 다양한 문헌 중에서 碑誌傳狀에 집중하여 그 수습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비지전장’은 기록성과 문학성을 겸한 문체로, 안정복의 역사가적 면모와 잘 부합한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첫 번째로 주목하는 것은 총 45책 중 제21책에 수록된 高麗墓文 7편이다. 1편을 제외하면 모두 문집에 실려 있지 않은 글이므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 수습 양상의 가장 큰 특징은 묘지명이 새겨진 실물 誌石 상태에 충실하게 묘지명을 필사해둔 것이다. 본문 끝에는 지석 크기까지 명기되어 있는데, 현재로서는 그렇게 한 유일한 사례로 생각된다. 두 번째로 주목하는 것은 제17책에 실린 明末 인물전이다. 「葉向高傳」, 「高忠憲攀龍傳」, 「鄒忠介元標傳」, 「馮泰定從吾傳」 등이 그것으로, 그 출처는 모두 『啓禎野乘』이다. 이 글들이 『잡동산이』에 수록된 것은 명말 역사 및 東林黨 인사의 행적에 대한 안정복의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 밖에도 제22책에 수록된 「安弘國傳」도 현재로서는 유일본으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Japdongsani(雜同散異) is the collection of various kinds of documents that has been passed on to An Chŏngpok(安鼎福, 1712∼1791)'s family. This paper focuses on pi-chi-chŏn-chang(碑誌傳狀) among its various documents and comprehensively examines how pi-chi-chŏn-chang are collected and transcribed. This is because pi-chi-chŏn-chang is a style that combines both documentary and literary character and is considered to be in line with the core identity of An Chŏngpok the historian. The first one to investigate is Koryŏ(高麗) myo-mun(墓文) included in 21st book. Six of the seven works are not included in mun-jib(文集). The most important feature is the fact that the Koryŏ myo-mun are written exactly as they were carved on stone. The size of the stone is stated at the end of the text, which is now considered the only case. The second one to investigate is a biography of literati of late Ming in the 17th book. The source is Kye-chŏng-ya-sŭng(啓禎野乘). It is assumed that the writings reflect An's interest in the history of late Ming period and the activities of Tong-lim-tang(東林黨) figures. In addition, ‘an-hong-kuk-chŏn’(安弘國傳), which is included in the 22nd book, is considered to be the only one and of high literary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