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류수원의 상업과 화폐에 대한 인식을 조선후기 경제에 대한 큰 틀 속에서 이해하고자 시도했다. 그동안 경제사 연구에서 상업과 화폐는 조선후기 사회를 변동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주목받아왔다. 생산력의 발달과 그에 따른 결과로 혹은 발전의 동력으로 상업과 화폐의 확대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전근대 상업과 화폐는 오늘날의 이해와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발전하고 있다. 특히 전근대 상업과 화폐는 국가의 의도와 정책이 중요하게 작용하며 시장의 법칙과는 다른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현대의 경제법칙으로 과거의 경제적 흐름을 이해한다면 정확한 현상을 파악할 수 없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류수원의 시각을 통해 나타난 상업과 화폐의 흐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조선후기의 경제적 흐름을 확인해 보았다. 특히 류수원은 상업발전과 화폐의 등장을 생산력 발달과 그에 따른 결과물로 이해하지 않고 국가의 부를 증대시키고 균등하게 부를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언급하고 있다. 상업, 상점 그리고 화폐의 역할은 발달에 따른 결과물이 아닌 정부의 정책적 수단이며 이를 정확하게 간파한 류수원은 국가의 부를 축적시키기 위해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우서』에 의견을 표출하고 있다. 국가의 부를 축적하는 도구로 상업과 화폐에 주목함으로써 당대 경제적 구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류수원의 저작에서 제공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scrutinize how Yu Suwon treats the economic argument and why we have to focus on his ideas from the premodern perspective. If we attempt to understand his ideas from a modern eye, we cannot grasp the gist of his point. Yu Suwon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commerce and Ever-Normal Circulating Treasure(常平通寶) contrary to other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Confucianism, commerce was regarded as the evil that destroy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s economic basis. If commerce prevailed throughout the whole nation, no one would stay in cultivation because merchants could make money without working hard. Based on these Confucian ideas, commerce and its tool, currency, was regarded as unnecessary to run a whole nation. However, Yu Suwon advocated commerce and currency as tools to enhance the nation's wealth during the Joseon Dynasty. Under this view merchants could play a role along with currency to even out the wealth inequality. In particular he thought that currency is not a result but rather an important way to adjust the economic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