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더욱 강조되고 있는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질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장기현장실습 관련 요인과 고용가능성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8년 2학기부터 2019년 1학기까지 H대학의 IPP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108명의 설문 결과를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가능성의 직업구직능력에는 장기현장실습 관련 요인 중 실습생-기업 매칭 차원의 조직적합성과 직무적합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가능성의 직업구직 자신감에는 장기현장실습 관련 요인 중 실습생-기업 매칭 차원의 직무적합성, 그리고 실습 과정 차원의 역할명확성과 무형식학습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가능성의 노동시장 수요 인식에는 장기현장실습관련 요인 중 사후 관리 차원의 실습 후 학습전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용가능성의 취업 기대수준 조정에는 장기현장실습 관련 요인 중 실습 과정 차원의 무형식학습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현장실습 특성 변인을 종합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현장실습 질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long-term field practice and employability in order to draw up implications for quality management of long-term field practice programs. For the stud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of 10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H university's IPP long-term field practice program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18 to the first semester of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hunting ability of employability. Second, person-job fit, role clarity, and informal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job-hunting confidence of employability. Third, learning transfer had a positive effect on demand recognition of the labor market of employability. Fourth, informal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djustment of employment expectation of employ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comprehensively revealing long-term field practice characteristics variables that affect employ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quality management of long-term field practice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