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그래픽 노블(graphic novels)’은 소설적 서사의 완결성이라는 문학성과 주제의 깊이 그리고 그래픽의 완성도를 포괄하여 예술성을 강조하는데, 실제로 만화의 예술성과 문학성 그리고 대중의 기호에서 뚜렷한 성과를 보였다. 특히 만화가 갖는 그래픽의 자유로움이라는 특장이 자전적 서사의 핵심이기도 한 고백의 절실성과 표상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자전적 서사를 담은 뛰어난 수준의 그래픽 노블이 다수 출간되었는데, 아트 슈피겔만의 『쥐』와 크레이그 톰슨의 『담요』는 아이코노 텍스트로서의 최상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1-1) 아트 슈피겔만의 『쥐』는 아우슈비치 수용소의 참혹한 경험을 구술증언하는 형식을 띄는데, 참혹한 아우슈비츠 경험과 병립하여, 그 존재를 뚜렷이 드러내는 심각한 함의를 가진 또 다른 서사의 축이란 바로 아버지와 아들의 갈등과 화해가 그리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궤적이다. 아버지 블라덱 슈피겔만의 위압적 형상과 아버지의 법의 완고함은 ‘노이로제’라는 신경증적 강박증상으로 나타나는데, 역으로 아트 슈피겔만은 아버지의 법이 가장 멸시하는 ‘비실용적인’ 세계를 찾아 예술가의 길을 택한다. 바로 그 자리에서 아트 슈피겔만의 모반과 분노는 새로운 길과 힘을 찾게 되니, 그것이 바로 원죄자 혹은 부적격자로서의 아버지의 형상에 대한 응시와 상상이고,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아버지의 패배를 완전히 봉인하려는 듯 그를 권력의 패배자를 넘어 윤리적 패배자로 낙인 지으려는 기도까지 이어진다. 하지만 동시에 바로 그 자리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뒤늦은 두려움 nachträglicher Gehorsam' 또한 그 도저한 자태를 드러내니, 아버지에 대한 아들의 양가적 감정-자식들의 성욕과 권력욕을 방해한 아버지에 대한 증오와 아버지와 일체가 되려는 소망 사이의 양가적 감정- 사이에서 아버지를 죽여 증오감을 만족시키자, 그 때까지 억눌려 있던 아버지에 대한 애정이 꿈틀거리고, 자책감과 죄의식이 뚜렷해진다. 그런데 『쥐』에 나타난 ‘뒤늦은 두려움’은 매우 각별하고 심각한 특성을 드러내니 그것은 아우슈비츠로 상징되는 유대인 혹은 좁혀 말해 슈피겔만 일가가 겪었던 상상하기 힘든 참혹한 홀로코스트의 경험이 개입되기 때문이다. 1-2) 『쥐』는 아우슈비츠로 상징되는 광기어린 집단살육, 종족살해의 끔찍한 경험을 이야기 하는데, 그 처참한 사실이 주는 중압감은 비극적 사실의 가감 없는 노출에 힘입고 있다. 자신과 혈육의 죽음을 자신의 선택으로 결정지어야 하는, 달리말해 가족 사이에서 죽을 자를 선택해야 하는 악마의 선택이 늘 일상화된 것, 그것이 2차 세계대전 기간 내내 벌어진 잔혹한 홀로코스트였으며, 아우슈비치는 바로 그 악마의 선택이 일상사가 된 지옥이었는데, 『쥐』는 바로 그러한 사실을 비극의 정점으로 다루었던 것이다. 특히 그들의 선택을 악마의 선택이라 부를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이 택한 선택이 자신과 혈육의 죽음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선택의 잔혹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선택을 강요하는 악마의 세계가 존재하고 그 악마적 세계의 잔혹한 의도성이 신적 위상의 위압감과 공포감을 동시에 불러온다. 1-3) 『쥐』는 아트 슈피겔만이 아버지 블라덱 슈피겔만의 증언을 그대로 전사하여 만화로 그려낸다는 설정인데, 유일하고 전적인 증언자로서의 블라덱의 성격 규정은 그만큼 자전적 그래픽 노블로서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기제라 하겠다. 그의 냉철한 사고, 실리적 처세, 능란한 처세술, 엄격한 자기절제, 행동주의적인 결단력 등의 자질 덕분에 『쥐』는 두 가지 이점을 얻게 되는데, 그 첫째는 아우슈비츠로 상징되는 유대인들의 굴곡진 삶을 총체적, 다층적으로 그려내면서도 갈등을 넘어서는 대응방식에서 나타나는 ‘예상을 뛰어넘는 능란한 기지나 수완이 주는 흥미로움’을 잃치 않는다는 점이고, 다른 한 가지 사실은 광기어린 폭력이 주는 공포와 슬픔에 매몰되지 않고 절제된 반응 속에서 논픽션의 특장인 사실의 엄밀한 기록을 효과적으로 완수할 수 있게 만든다는 점이다. 1-4) 『쥐』는 다큐멘터리로서의 신빙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첫째로 증언자로서의 아버지 블라덱 슈피겔만의 시각이 갖는 각별한 의미를 매우 의도적으로 부각시키는데, 분명 블라덱 슈피겔만의 삶은 그의 품성이나 자질의 특수성에서 오는 규정성이 있고, 삶의 실상과 함께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에도 특수성과 규정성이 엄연히 존재한다는 사고를 드러내는 것이고, 둘째로는 기록자의 입장이나 시각이 갖는 특수성과 한계에 대한 현시로서, 아버지 블라덱 슈피겔만의 증언을 가감 없이 전하려는 엄밀한 자세를 잘 드러내면서도, 한편으로는 자신의 입장과 시각이 갖는 한계로 인한 굴절 혹은 왜곡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시달리는 자신의 입장과 유대인으로서의 자신의 시각이 갖는 한계 - 을 현시하는 것이다. 2-1) 『담요』는 크레이그가 청년이 된 시점에서 자신의 유아기부터 청년기까지의 삶의 궤적을 고백체 만화로 그린 자전적 그래픽 노블로서, 자신의 이야기를 스스로 만화라는 매체로 완성했다는 사실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데, 자연히 자전적 서사로서의『담요』의 예술적 완성도는 고백의 절실성과 관련되는데, 『담요』는 이 문제를 두 가지 전략으로 해결한다. 첫째로 삶의 중압감과 관련된 문제로서, 『담요』가 그린 크레이그의 유년기 시절부터 청년기까지의 삶의 궤적에서 삶의 중압감은 그 충격성, 심각성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고통을 수반하는 것이고, 크레이그의 삶을 도저하게 지배하는 구속 원리이자 규정이 되어 버리는데, 이 때문에 『담요』에서 고백은 절실성을 확보하게 된다. 즉 크레이그의 고백은 자신의 삶을 절실하게 돌아본 결과이고, 자신의 삶이 가진 생래적 무게감과 의미를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최적의 경로로 비쳐지는 셈이다. 둘째로 『담요』에서 고백의 절실성은 크레이그가 보이는 ‘반성적 시각’과도 관련이 있다. 크레이그의 회고 속에는 달리 말해 고백 속에는 늘 생래적 자질처럼 그려진 ‘진지한 반성적 사고’가 짙게 깔린다. 그의 특징적이고 일관된 태도나 심성으로 그려지는 반성적 사고는 자책의 감정을 깔고 있으며, 책임감과 순결성에 관련된 회한의 형태를 띠는데, 윤리적, 종교적 차원으로까지 고양된 시선 때문에 고백의 절실성을 한층 충실해 보이게 만들고 있다. 2-2) 『담요』는 장편 그래픽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대립된 가치의 충돌이 불러오는 갈등이 뚜렷한 서사적 긴장감이 확연하게 드러나는데, 일상사에까지 스며든 사사적 긴장감은 관능과 죄의식의 충돌, 일상과 종교의 충돌에서 온다. 크레이그와 레이나가 펼치는 연정과 관능의 세계에는 언제나 배면에 도저히 흐르는 죄의식 혹은 종교적 경건함의 세계가 깔리는데, 그것은 곧 인간의 원죄의식, 욕정의 세속적 세계에 대한 죄의식, 예수를 통한 구원 등 기독교의 핵심적 교리의 세계이다. 바로 이러한 욕정과 관능의 세계, 죄의식과 구원의 세계, 기독교적 교리의 세계가 펼치는 다양하고 팽팽한 변주의 세계가 바로『담요』의 서사적 긴장감을 만드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동시에 바로 이러한 혼란과 고뇌, 그리고 새로운 결단이 빚어내는 삶의 파노라마가 『담요』를 '한 인간이 일상과 종교, 자유롭고 관능적인 삶과 종교적 순결성 등의 혼재된 가치관 속에서 고뇌하며 삶을 헤쳐 나가는 성장기(成長記)를 그린 충실한 보고서'로 만든다.


The thesis puts focus on the narrative strategies of graphic novels as Iconotext. Art Spiegelman's MAUS and Craig Thomson's Blankets show decided superiority on literary narrative, artistry, graphic etc. ⅰ) Art Spiegelman's MAUS shows narrative's tension between Holocaust and Oedipus complex. Art Spiegelman's anger and belated fear are very dramatic feature. ⅱ) MAUS' tragedy is evident from devil's choice on own blood. ⅲ) Deponent' character of MAUS shows result on documentary's honesty and dynamic development of event. ⅳ) MAUS's superior result related to revelation on deponent's limit and clerk's limit. ⅴ) Craig Thomson's Blankets shows result on confession' more poignant. Confession' more poignant related to an oppressive feeling on life and hardwired self - reflection. ⅵ) The narrative tension of Blankets occurs in collision between sensuality and sense of guilt, daily life and religion.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 , , , ,

iconology, narrative strategies, visual amgination, graphic novels, Holocaust Oedipus complex, anger, belated fear, devil's choice on own blood, deponent, documentary's honesty, clerk, an oppress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