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과학관 기념품의 연구와 실천의 현 위치를 살펴보고, 과학관 기념품 실천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국내과학관 기념품에 대한 정책연구와 학술연구를 조사하고, 문화역사활동이론을 적용하여 국내 과학관 기념품의 실천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관 기념품 실천은 과학관 기념품에 대한 정책연구와 학술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채 발생되고 있었다. 둘째, 과학관 기념품은 과학관의 상징성과 고유성을 갖도록 관람객에게 유형적회상 증거가 되고, 비형식교육환경의 학습자료를 만드는 목표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과학관 기념품실천은 주체, 객체, 도구를 비롯한 규칙, 공동체, 분업이 일어나는 집단적인 활동체계를 갖추고 있다. 넷째, 과학관의 상징성과 고유성을 갖는 기념품 활동체계는과학관의 전시 활동체계와 서로 상호작용하는 융합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체및 공동체 간 분업화가 일어나고, 기념품 활동체계가전시 활동 및 교육 활동과 상호작용하는 융합적인 활동체계를 갖춘 방략이 실행될 때, 과학관 기념품 실천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research and practices of souvenirs in science centers and museums of Korea and to suggest the strategy to activate practices. For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policy and academic research of souvenir, and analyzed souvenir practices using CHAT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uvenir practices has arisen with little policy and academic research. Second, the souvenirs need to aim to be tangible and recallable evidence and learning materials. Third, souvenir practices have collective activity system where rules, communities, and divisions of labor interact with each other. Fourth, souvenir activity system features convergent interaction with the exhibition activity system.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souvenir practices could be activated under divisions of labors between subject and community, and execution of the convergent strategies including exhibition or education activit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