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다문화-상호문화 현장답사의 일환으로 시작된 본 연구는 “작은 중국”이라 불리는 대림역 12번 출구에서부터 도림로 38길을 지나 디지털로 37길까지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거리의 모습에 담겨진 중국문화의 의미를 찾아내고자 한다. 연구자는 중국인의 시각에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법인 참여관찰법을 활용하여 조선족들이 대림동에서 영위하는 삶의 모습의 독특한 측면을 상업시설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대림동의 상업시설을 1) 대림동에서 성업하는 업종, 2) 국내 타 지역에서는 흔히 보이지만 대림동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업종, 3) 대림동에 새롭게 생기고 있는 업종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으며 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트랜스이주자로서 한국에서 살고 있는 조선족이 그들만의 “중국문화”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는 이미 “다문화 사회” 시대에 돌입했음을 증명하여 조선족이 포함된 사회구성원들 모두가 더불어 공존할 수 있도록 ‘단일문화사회’에서 “상호문화사회”로의 전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향후 조선족과의 개인적-대면적 심층인터뷰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상호문화사회로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as a part of multicultural-intercultural field trip, was conducted from Exit 12 of Daelim Station called “Small China” through Dorim-ro 38-gil and Digitally-37-gil. I used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rom a Chinese perspective to analyze the unique aspects of the life of Korean-Chinese living here, focusing on commercial facilities. This study classified three types of commercial facilities into 1) a type of businesses that are successful, 2) a type of industries that are commonly seen in other regions of Korea, but are rarely found here, and 3) new type of businesses that are newly emerging here. Based on the results, I found that Korean-Chinese living here as transimmigrants form their own “Chinese culture.” This proves that Korea has already entered the “multicultural society”, suggesting the need for a transition from “single cultural society” to “intercultural society” so that all Koreans, including Koreans-Chinese, can coexist together. I would like to find ways to develop a more specific intercultural society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Korean-Chinese in fur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