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폭식행동의 발생 및 유지에 주요한 선행요인으로 밝혀진 부정 긴급성과 음식갈망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추가적으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부정 긴급성, 음식갈망, 폭식행동을 평가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 방정식 분석 결과, 음식갈망은 부정 긴급성과 폭식행동 간을 완전매개하였다. 음식갈망의 하위 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 음식에 대한 몰두와 통제상실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난 반면, 정서갈망과 긍정적 결과 기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모든 경로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별과 상관없이 부정 긴급성이 높은 대학생들에게서 음식갈망이 폭식행동을 촉발하는 주요한 요인임을 나타낸다. 또한, 이는 폭식행동의 예방 및 치료 접근으로 음식갈망의 여러 상태를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urgency and food craving, which are known as major antecedents for the occurrence and maintenance of binge eating, and to verify the moderate effect of gender.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N=277) completed measures assessing for negative urgency, food craving, and binge eat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showed food crav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urgency and binge eating. In analyzing the mediate effects of sub-factors of food craving, while preoccupation with food and loss of control each had fully medicate effect, emotional craving and positive outcome expectancy separately had partially medicate effect. In all pathway,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moderate effec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ood craving is a major factor that triggers binge eating in college students with high negative urgency regardless of gender. It also suggests a need to address the various states of food craving for preventive and therapeutic approaches to binge e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