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공학 계열 전공 학생과 보건계열 전공 학생 대상으로 노인 관련 지식교육과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간의 인과적 구조에 어떠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공학계열 및 보건계열 학생 6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 분석은 3단계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공학계열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노인교육에 의한 지식수준 차이가 유의미한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계열의 경우 모든 조절변수가 조절 효과를 지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공학 계열 학생과 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한 노인교육의 질적 수준을 달리해야 함을 주장하면서 이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difference in knowledge of the elderly,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y for the elderly and the difference in the period of coresidence with the elderly have regul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 of perception toward the elderly on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argeting engineering and health science students. The subjects were 619 engineering and health science students in G City.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had a significant regulation effect (p<.05) by elderly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 betwee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of engineering students. In the case of health science students, all the moderating variables did not have regulation effect. Based on this result, the study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for this, maintaining that the quality level of education on the elderly targeting engineering and health science students should be 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