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중국 근대 신문인 <신보>에 보도된 한국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 독립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발전과정에 따라 시기를 1시기(1910년~1918년), 2시기(1919년~1944년), 3시기(1945년~1949년)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1시기에서는 대부분 짧은 단신기사로 보도되었고, 2시기부터 기사의 길이가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의 정보원은 1시기에서는 정보원이 거의 없었으며, 2시기와 3시기에서는 정보원이 있는 기사가 많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레임은 각 시기별로 그 변화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1시기에서는 ‘한국주권상실 프레임’, 2시기에서는 ‘주권회복투쟁 프레임’, 3시기에서는 ‘반도내부분열 프레임’이 핵심 프레임이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한인 중국적응 프레임’, ‘주변강국정세 프레임’, ‘사회갈등 프레임’도 많이 등장했다. 논조는 부정적인 기사보다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기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중국 근대 대표 언론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한국 독립운동을 어떻게 다루었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신보> 분석을 통해 중국국민정부가 한국 독립운동을 지지하고 많은 도움을 주었고, 한중 양국이 우호적인 관계를 갖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반도 분열과정과 한반도에 대한 주변 국가들의 태도도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reported in the Chinese modern newspaper <Shenbao>. For analysis, the period was divided into 1910 ~ 1918 (1st period), 1919 ~ 1944 (2nd period), and 1945 ~ 1949 (3rd perio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result, most articles were reported as short articles in the first period, and the length of the articles was longer from the second period. Most of the sources of the articles did not have any information sources in the first period, and more articles with information sources were found in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The frame clearly showed the change at each period. In the first period, the frame of the ‘loss of Korean sovereignty’, the second frame of the ‘sovereignty recovery struggle’, and in the third period were the ‘sub-frames of the peninsula.’ Besides, there were relatively many ‘Chinese adaptation frame’, ‘surrounding power situation frame’, and ‘social conflict frame.’ The tone was more neutral or positive than negative. Overall,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epresentative media of modern China dealt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particular, through the analysis of <Shenbao>,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Chinese government support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two countries had friendly relations. Also, we could see the division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attitudes of neighboring countries to the Korean penins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