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설득적 광고스토리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 및 복합적 의미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 논의된 인지적 의미해석 연구의 일부라 할 수 있다. 연구의 성과를 위해 선행된 서사 도식 4단계 과정과 기호계의 코드 해석에 의한 단계별 해석 과정을 제시하였다. 1단계에서 광고 속 흥미로운 동기를 유발하는 내용에 대한 문제제기를 시도하였다. 2단계는 기호계의 분석 도구를 탐색하고, 3단계는 미디어 담화를 구축하는 문화기호 분석에 집중하였다. 마지막 4단계에선 광고담화 수용자의 정확한 의미 분석을 재평가하는 단계이다. 더불어 인지 환경을 기반으로 서사 도식을 제시하였다. 그 중 3단계 해당하는 ‘실행’의 단계는 수용자의 창조성과 비판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화적 인지 코드이다. 이 코드는 사회문화적 가치로서 광고스토리의 의미구조, 기호구성, 수사표현 등이 필수적으로 작용하였다. 필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해석 과정을 정하고 수용자의 ‘인지환경 기반의 의미 추적 3단계’로 명명하였다. 공유 핵심어의 선정, 인지적 스키마에 의한 광고스토리 의도 파악, 주제 및 스토리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언어적 비언어적 추론 작업을 말한다. 위의 4가지 서사도식 단계와 3가지 인지환경 기반의 과정을 거친 광고수용자는 자신의 삶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 비교 및 자신의 성찰적인 삶에 대한 표현 그리고 미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조적인 글쓰기 표현 교육에서의 실제 결과물로 도출되었다. 더 나아가 양적 논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필자의 후속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This text is part of a cognitive semantic study discussed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socio-cultural values and complex meanings contained in a compelling advertising story. A step 4 process of Greimas's narrative schematic diagram by Michel Tady and a step-by-step analysis process by code interpretation by the semiotics were presented, preceded by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of all, I organized the four-step process of Michel Tardy's "Greimas Epic Diagram" and the social and cultural symbol code of each step. Step 1 tried to raise a question about what caused an interesting motivation in the ad. The second stage explored the analysis tools of the symbol system, and the third phase focused on the analysis of cultural symbols that establish media discourse. In the final stage of the fourth phase, the analysis of the exact meaning of the ad-talking inmates is reevaluated. In addition, the narrative schematic was presented based on the cognitive environment. Three of them, the "execution" step, are cultural cognitive codes that can affect the acceptor's creativity and criticality. This code was a social and cultural value, and the meaning structure, symbol composition, and investigation expression of the advertisement story were essential. To solve this problem, I have set up three analytical processes and named them 'Step 3 of Cognitive Environment-based Meaning Tracking.' A verbal nonverbal reasoning operation attempted to select a shared core, grasp the intent of advertising story by cognitive schemas, and gain a comprehensive grasp of topics and stories. Advertisers who have undergone the above four epic stages and three cognitive environment-based processes were derived as actual results in comparing social and cultural values of their lives, expressing their reflective lives and educating creative writing expressions that can solve future problems. Furthermore, the need for research on quantitative discussions is to be left as a follow-up task to the wri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