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기까지의 사회적 역경이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청소년기까지의 사회적 역경과 정서행동문제의 관계에서 대처유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고등학생 723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역경, 청소년 정서행동문제, 대처유연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까지의 사회적 역경은 정서행동문제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대처유연성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처유연성과 정서행동문제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기까지의 사회적 역경이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반적 대처유연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대처유연성의 하위요인인 외상 중심적 대처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후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dversity(SA)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EBP) until adolescenc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in relation to SA and EBP until adolescence. 723 high school students conduct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at measures SA, youth EBP, and coping flexibility. And analysis using SPSS 21.0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A until adolesc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BP, shown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ping flexibility. In addition, the coping flexibility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EBP.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on the effect of SA on EBP until adolescenc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rauma focused coping, which is sub factors of coping flexibility has shown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proposal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