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해안사구는 토양 내 수분이 충분하지 않아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전형적인 사구식생이 존재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많은 사구들은 해수욕장, 레저시설, 방파제 등의 인위적 교란으로 인해 훼손되어 전형적인 해안사구 식생의 특징을 형성하지 않고 식생의 변화를 야기한다. 특히 물리적 환경변화로 인한 침입종의 군락 내 침입은 해안사구 식생의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안사구에 서식하는 식생의 특성 및 침입종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전라남도 진도, 완도, 해남의 연구대상지를 중심으로 2019년 5월과 9월에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안사구식생의 식물군락은 총 24개 군락으로 구분되어졌으며, 5월에 비해 9월 조사에서 군락, 우점도, 종조성의 변화가 있었다. 주요 해안사구 식물군락은 좀보리사초군락, 쥐보리-좀보리사초군락, 갯메꽃군락, 갯메꽃-쥐보리군락, 갯보리사초군락, 갯지치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천일사초군락, 갈대군락, 띠군락, 순비기나무군락, 갯완두군락, 통보리사초군락, 갯잔디군락, 갯질경군락 등이다. 군락의 우점도 변화는 해안사구 식생의 전형적 구성종인 좀보리사초,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완두, 갯보리사초군락 등은 변화가 없었으나, 귀화식물과 침입종인 쥐보리, 큰김의털, 애기달맞이꽃, 달맞이꽃, 칡 등은 우점도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해안 바닷가와 근접해서 서식하는 갈대, 갯질경, 갯잔디 등은 우점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안사구의 전형적인 군락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주로 군락 내 침입종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은 개발로 인한 침입종들이 해안사구에 유입된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 대상지의 사구식생의 분포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은 모래침식과 퇴적에 의하여 1차적으로 결정된 것으로 보이며, 2차적으로는 인간 간섭에 의한 계절별 외래침입종의 변화가 반복되면서 식생의 종구성을 변화시켜 사구식생의 전체적인 종조성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도, 완도, 해남 일대 해안사구의 식생군락 특성 및 침입종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해안사구에 대한 향후 관리 전략 수립 및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veget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sand dunes between May and September, 2019. By implementing the Braun-Blanquet method, 24 plant communities were recognized as follows: Carex pumila community, Lolium multiflorum-Carex pumila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Lolium multiflorum community, Carex laticeps community, Mertensia asiatica community,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Vitex rotundifolia-Lolium multiflorum community, Lathyrus japonicus community, Lathyrus japonicus-Lolium multiflorum community, Carex kobomugi community, Carex laticeps-Lolium multiflorum community, Carex laticeps-Lolium multiflorum community, Carex scabrifolia community, Zoysia sinica community, Limonium tetragonum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Cynodon dactylon community, Lolium multiflorum-Bromus secalinus community, Artemisia princeps community, Oenothera odorata community, and the Conyza canadensis community. The typical communities of coastal dune vegetation were 13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There were changes to the dominance index and species compositions in community between May and September, 2019. With regard to change in the dominance index of plants, Carex pumila, Carex kobomugi, Calystegia soldanella, Lathyrus japonicus, Carex laticeps, typical components of the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has not changed while Lolium multiflorum, Festuca arundinacea, Oenothera laciniata, Oenothera odorata, Pueraria lobata, which are naturalized plants and invasive species have increas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 that frequent anthropogenic disturbances from the change of land-use adjacent to the coastal sand dunes caused an alteration in the dominance index of such species. This seemed to be because the most invasive species of the coastal sand dune area are much less tolerant of salinity that intrusion into the areas affected by the seawater has not actually allowed dune vegetation- it has decreased while Rosa wichuraiana and Vitex rotundifolia, which are naturalized plants and woody invasive species have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