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경찰은 시민사회의 중심에서 수많은 상황에 직면하지만, 이를 현장에서 이끌어가는 리더에 대한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체계적인 경찰리더십 연구와 현장 중심 교육을 수행하기 위하여 2018년 5월에 ‘경찰대학 리더십센터’를 설립하였다. 본 연구는 ‘경찰대학 리더십센터’의 연구․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경찰리더십 연구을 위한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경찰’ 및 ‘리더십’을 키워드로 검색된 289편의 학위․학술논문 가운데 109편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시 중복문헌을 배제한 94편을 대상으로 리더십이론,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 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리더십 연구는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 동향과 유사한 흐름으로 행정학․정책학 관점에서 경찰리더십에 접근하였으며, 리더십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없었고, 다수 연구가 단발성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경찰리더십 연구는 통합적 접근방식에 따라 일대일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대상은 경찰공무원 또는 경찰 업무 전체를 대상으로 중간관리자 또는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의 부하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에 편중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대학 리더십센터’의 연구․교육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경찰리더십의 정의 및 개념에 관한 기초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리더십에 관한 현장경찰관의 인식․경험을 반영하는 질적․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경찰리더십 교육을 위한 역량모델에 관한 연구와 현장 사례에 기반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Police face many situations at the heart of civil society. However, the education of the leaders who lead the situation in the field is not properly performed. For this reason,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was established in May 2018 to conduct systematic police leadership research and field-based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and to suggest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study of police leadership. For research purposes, 109 of 289 degrees and academic papers searched under keywords for ‘police’ and ‘leadership’ were selecte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zed. Next, in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leadership theory,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for 94 books that excluded duplicate tex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lice leadership research tended to be similar to general leadership research,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cademic papers approaching police leadership from an administrative and policy perspective. No research has been approached from a leadership perspective, and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a single fashion. Second, the study of police leadership was focused on the one-to-on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tegrated approach. Third, the research target was focused on th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leadership of the mid-level or top-level managers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police officers and police affairs. Fourth, the research method was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and education directions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basic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police leadership should precede. Second, qualitative and longitudinal research that reflects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leadership is necessary. Third, research on competency models for police leadership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based on field cases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