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특징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8년 6월 현재까지 검색된 39편의 지역아동센터의 자아존중감 관련 프로그램 평가논문이며, 분석에 포함된 변수는 조사평가, 프로그램 구성 및 프로그램 개발 활동 영역의 9개 변수이다. 통계분석은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을 사용하여 메타아노바와 설명적 메타분석으로서 단일변량 및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아동센터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는 .942로 나타났다. 효과크기의 이질성에 대한 메타아노바 분석 결과, 총 회기 11~20회, 1회기 당 50분~60분, 프로그램 참여자 10인 이하, 자아존중감 단일목표, 프로그램 개발 활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이론 및 프로그램 개발과정 정도가 높은 경우에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효과크기 이질성의 인과성에 대한 단일변량 및 다중변량 메타회귀분석 결과, 프로그램 목표 수, 프로그램 참여자 수, 프로그램 이론, 프로그램 개발과정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프로그램 목표가 자아존중감 단일목표일수록, 프로그램 참여자 수가 적을수록,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이론과 프로그램 개발과정 정도가 높을수록 효과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효과크기의 예측모형에서는 4개 변수 중에서 프로그램 개발과정 정도가 모형변화량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메타분석 연구결과의 내용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와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및 설명적 메타분석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for the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ren Centers through meta-analysis. The research subject was 39 evaluation papers on self-esteem program in Community Children Center searched in June 2018.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analysis were 9 variables in the areas of survey assessment, program composition and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meta-anova, univariate meta-regression and mutivaratiate meta-regression analysis using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at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is .942. Analysis of meta-anova for heterogeneity of effect size showed high effect size i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11 to 20 sessions, 50 to 60 minutes per session, 10 participants or less, high degree of program theory and program development process. Univariate and multivatate meta-regression analysis of the causality of effect size heterogeneity showed that the number of program goal, number of participant, level of program theory and program development activ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ewer program participants, the fewer program goals, the higher the program theory and program development process, the greater the effect.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is the most important variate for the incremental change in the predictive model analysis. The academic meanings of the study results was discussed,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practices and explanatory meta-analysis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