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량적 뇌파는 연구와 임상적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용되어다양한 임상적 증상과 인지기능의 자극 및 과제에 따른 대뇌의생물학적인 바이오 마커를 규명하는 등 대뇌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증명하는데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뇌파에서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은 분석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측정 방법과 환경이 비슷하지만 한편으론 다르다. 정성적 분석은 뇌파를 판독하는 사람이 잡파를 제외시키고 볼 수 있지만 정량적 분석은 수학적 모델링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모든 것을 포함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잡파가 결과에 영향을 준다. 병원에서 임상생리학적 검사인 뇌파를 담당하는 임상병리사들이 뇌파를 이용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서 아주 드물다. 이러한 현상은 임상검사과학 분야 중에 임상생리학적 검사에서 두드러지게나타난다. 왜냐하면 현재 대학에서 임상생리학을 연구하는 실험실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본 저자의 목적은 정량적 분석을 하고자 하는 임상병리사, 대학원생, 연구자들이 쉽게 접근하여 앞으로 뇌파의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고, 앞으로 많은 대학에서 임상생리학 실험실이 생겨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좋은 논문들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해 본다.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has been widely used in research and clinical fields.QEEG has been widely used to objectively document cerebral change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across various clinical symptoms and for the stimulation of specific cortical region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In electroencephalography (EEG), the difference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is discriminated not by its measurement methods and relevant clinical or research environments, but by its analysis methods. When performing a qualitative analysis, it is possible for a medical technologist or experienced researchers to read the EEG waveforms to exclude artifacts. However, the quantitative analysis is still based on mathematical modeling, and all EEG data are included for the analysis, leading the results to be affected by unexpected artifacts. In the hospital setting, the case that the medical technologists in charge of the EEG test perform academic research has been little reported, compared to other clinical physiological measurement-based research. This is because there are few laboratories specialized in clinical physiological research.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reference material for medical technologists, students, and academic researchers, all of whom would like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