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詩經』 「風」과 「雅」 에 출현하는 42개 의성어를 대상으로 기존의 학자들의 주해를 종합하고 上古音을 재구하여 기존 중첩 의성어의 소리와 의미를 정리한 뒤, 이를 바탕으로 의성어가 갖는 음성상징을 개괄해보았다. 그 결과, 의성어가 표상하는 ‘소리’와 특정 음소의 음성적 속성 사이에 부분적이나마 도상적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물이 우는 소리와 수레소리 그리고 물체를 두드리는 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의 聲母는 대부분 파열자질을 지녔고, 바람소리와 새 나는 소리, 피리소리, 방울소리 그리고 쌀 씻는 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의 聲母는 대부분 마찰자질을 지니고 있었으며, 사슬고리 소리와 새 나는 소리 가운데 왔다갔다하는 모습을 묘사한 소리는 유음이었다. 마찰과 유음은 [+cnt] 자질을 지닌 지속음이며 이는 소리의 여운이 있는 물체 또는 바람과의 연계가 보다 유연하였다. 반면 파열음은 [-cnt] 자질을 지닌 음으로 구강 내 차단에 의해 막혔던 공기가 일시적으로 방출되면서 소음이 생기는 음으로 물체의 둔탁함 또는 동물의 우는 소리를 묘사하였다. 특히 동물소리는 대부분 구강의 크기가 큰 연구개음계열이었다. 중국어는 소리와 의미를 함께 전달하는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순수하게 소리만 나타내고자 하여도 의미에 연루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까닭으로『詩經』을 비롯한 옛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의성어의 어감을 이해하는 것은 곤란한 작업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의미에서 기존의 문자학적 연구 또는 형태론적 연구 외에 음성상징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도입하여 의성어를 살펴보았다. 물론 몇 가지 사례로서 특정 음소가 갖는 어감을 일반화할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자연언어의 음성상징 연구라는 것이 근본적으로 수렴적이며, 확정적인 결론보다 경향성을 논하는 성격을 가지는 것을 인정하는 바,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언어 자료 분석으로 그 경향성이 보다 드러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d sound symbolism in 42 onomatopoeia that appeared in 'shijing'. Firstly we summed up the annotation of previous scholars and reconstructed old chinese. Then, based on the annotation and sound reconstructed, analyzed sound symbolism. The results showed a partial but graphic relationship between the 'sound' represented by the onomatopoeia and the phonetic properties of a particular phoneme. Chinese is a phonetic alphabet that conveys sound and meaning together, and as Lim Dong-seok (1996) and Choi Young-ae (2007) have already pointed out, they are often involved in meaning even if they want to express sound purely. For this reason, it can be a difficult task to understand the tone of the onomatopoeia in old literary works, including 'shijing'. In addition to the existing literal or morphological studies, this paper has the meaning of introducing a new perspective of phonetic symbolization. Of course, some examples would not generalize the tone of a particular phoneme and we well recognize the study of sound symbolism is fundamentally convergent and has a tendency to discuss trends rather than conclusive conclusions. This being so we expected that various analysis of language corpus in subsequent studies will reveal the tendency more than the deterministic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