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본어 조사의 한 분류인 도리타테시 「さえ」, 「まで」와 도리타테 성격을 띠는 「からして」의 의미의 특징에 대해 기술한 논 문이다. 이 셋은 모두 의외성을 나타낸다. 공통점은 문장에 드러나는 ‘자자(自者) X’의 성질은 의외성이지만, 문장에 드러나지 않는 ‘타자(他者) Z’의 성질은 당연성이라는 점이다. 차이점은 문장 안에서 드러나지 않는 요소인 ‘타자(他者)’의 특징에 있다. 「さえ」, 「まで」, 「からして」의 ‘타자(他者)’의 특징은 첫째 ‘타자(他者)-긍정(肯定)’이 ‘단정(断定)’인지 ‘상정(想定)’인지에 따라 다 르다. 둘째 ‘타자(他者) Z’를 제외한 그 나머지 ‘타자군(他者群)Y’의 성질이 당연성인지 의외성인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 두 가지의 차이점 에 따라 이 셋은 각각 문장에서 역할을 나누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まで」의 ‘타자군(他者群)Y’의 성질이 당연성에서 의외성으로 진행되는 것에 대해서는 향후에 고찰이 더 필요하다.


This stud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nings of Toritateshi Sae and Made , and Karashite which has the nature of Toritate. These three particles basically indicate unexpectedness in sentences. A common feature of these three particles is that the nature of ‘jisya X’ (or the element marked by these particles), which is revealed in sentences, is unexpectedness, and the nature of ‘Tasha Z’ (or the other element in the range) is reasonableness. Differences of these three particles are in the characteristics of ‘Tasha’, which is an element not revealed in sentences. The characteristics of Tasha vary depending on, first, whether the ‘Tasha-Positive’ is ‘assertive’ or ‘presumptive’, and second, whether the nature of the remaining Y excluding ‘Tasha Z’ is reasonableness or unexpectedness. It is thought that the three postpositional particles play different roles according to these two differences. In particular, further investigations are required to the transition of the nature of Y of Made from reasonableness to unexpected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