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Corrado et al. (2005, 2006, 2009)가 제시한 광의의 무형자산 정의에 따라 국 제비교가 가능한 한국의 산업별 무형자산 투자 자료를 구축하였다.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과의 국제비교를 통하여 한국의 무형자산 투자의 최근 추세와 산업별 현황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무형자산 투자의 경제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s) 참여도와 산업별 무형자산 투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995-2015년 기간 한국의 무형자산 투자는 GDP 대비 평균 약 7.58%로 나타났다. 주 요 선진국과 비교한 결과, 한국의 무형자산 투자의 GDP 대비 비중은 미국의 약 70% 수준이며, 분석 대상 17개국 중 13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비교 결과 한국은 과학연구개발 무형자산 투자 수준은 높지만 브랜드와 기업특화자산 등 경제 적 역량 관련 무형자산 투자 수준은 낮아, 전체적인 무형자산 투자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분석결과 한국은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의 무형자산 투자 가 선진국에 비해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형자산과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무형자산 투자가 활발한 산업일수록 글로벌 가치사슬에 참 여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혁신재산과 경제적 역량 투자가 높은 산 업일수록 전방연계 형태의 가치사슬 참여가 활발하고, 컴퓨터화 정보와 경제적 역량 투자가 활발한 산업에서 후방연계 형태의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서 구축한 무형자산 투자 자료는 유형자산에서 무형자산으로 투자의 중심 이동을 경 험한 주요 선진국의 경제구조 변화가 한국에도 발생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무형자산 투자 중심의 경제가 가지고 올 산업 및 무역 구조 변 화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In this paper we construct industry-level intangible investments in Korea based on the method suggested by Corrado et al. (2005, 2006, 2009).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investments in Korea by comparing with those in advanced countries. We find that the ratio of intangible investment to GDP in Korea is on average 7.58% between 1995 and 2015, which is approximately 70% of that in the U.S. Among advanced countries, Korea’s intangible investment on R&D is relatively high, while its investment on economic competencies is very low. Compared to manufacturing, intangible investment in the service sector is much lower in Korea than that in advanced countries. Furthermore,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angible investment and participations in global value chains at the industry level, which enables us to find the economic impacts of the increased intangible investment. We find that industries with a high intangible investment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global value chains and types of intangible investment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s. This paper contribute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changes in economic structure caused by the increased intangible investment. Providing the industry-level intangible dataset, this paper will promote future studies that investigate various impacts of intangible investments on the Korean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