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어 교육과정」이 공시된 이후 ‘교육 대상’ 선정의 부적절성, 생활한국어와 학습한국어 구분의 모호성 등이 문제시 되곤 하였다. 여기에 입각점을 둔 본 논의는 교육과정 체제 전반을 개정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의 성격’에 포함된 교육 대상을 현행처럼 세분하지 않고,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이 없거나 현격히 부족한 학생’으로 다소 넓게 규정하였다. 다음으로 ‘학습한국어’와 ‘생활한국어’를 구별하지 않으려는 관점에서 ‘교수ㆍ학습 방법’ 및 ‘부록’의 체제를 수정하였다. 두 영역을 구분하지 않으므로 ‘교수ㆍ학습의 계획’이나 ‘운용 방식’도 구별할 이유가 없다는 논리인 것이다. 한편으로 학습한국어와 생활한국어의 영역 구별을 없애고 ‘주제, 의사소통 기능, 문법, 어휘’를 포괄한 ‘언어재료’ 부분도 생략하였다. 이들은 내용 체계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가 아니라 ‘주제’는 『표준한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시 고려되어야 하며, ‘문법, 어휘’는 ‘쓰기, 읽기, 말하기’ 등과 같이 교육 내용 영역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라는 판단에서이다.


After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s made public, it is noted that there has been controversial issues such as the in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target’ categories and the ambiguity of the distinction between Survival Korean and Academic Korean. The current study, therefore, aims to modify the overall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this end, this paper broadly defines educational targets as ‘students who are not equipped with Korean communicative ability or who lack such skills’ unlike the current curriculum which subdivides the category into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and youth immigrants. Such revisions mentioned above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core of the curriculum, that is, the contents framework and achievement leve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remove the distinction between Academic Korean and Survival Korean and eliminate the ‘language material’ item which includes ‘theme, communicative skills, grammar, vocabulary.’ It is claimed that these should not be included in the contents frameworks – the ‘theme’ is needed when units of Standard Korean textbook is constructed, and the ‘grammar, vocabulary’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ontents with ‘writing, reading and speaking,’ since they are regarded as a ‘communicative sk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