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반적으로 패권국가의 행동은 국제체제, 위협, 국가이익과 같은 변수를 중심으로 설명된다. 하지만 ‘이라크 자유 작전’의 실패는 9/11 이후 미국의 국제적 역할과 전략적 목표의 재설정은 물론 군사적 수단의 사용 목적과 방법과도 관련된 관념적이고 문화적인 요인들과 분리하여 설명될 수 없다. 본 연구는 미국 전략문화의 관점을 차용하여 문화적 요인들과 정책결정자들의 전략적 선택 간의 인과관계를 추적한다. 전략문화의 시각으로 보면, 당시 민주국가 건설이라는 목표가 오랜 문화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은 맞지만 그것이 일방주의적 군사 개입을 통한 정권교체라는 공격적인 모습으로 표출된 것은 9/11 이후 정치-학술-군사 네트워크를 장악한 신보수주의자들의 집단적 사고가 반영된 결과이다. 한편, 패권의 도덕성과 힘에 대한 자기확신은 군사전략에도 영향을 주었다. ‘완벽한 파괴’와 ‘신속한 지배’ 전략은 기존의 와인버거 독트린이 강조한 ‘정치적 목적 추구와 압도적 무력 동원’의 원칙과 결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략적 목표와 수단의 심각한 괴리를 초래했다. 요컨대 자유주의적 패권과 군사과학주의의 결합은 ‘전쟁과 정치의 분리’라는 미국의 전통적인 전략문화, 즉 반클라우제비츠적인 경향으로의 회귀를 의미했다. 이와 같은 문화적 접근법은 미국의 대외정책을 이해하는 데 있어, 신현실주의가 강조하는 국제체제의 일반적인 영향력과 미국의 독특한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경험에서 기인하는 문화적 요인들이 가하는 개별적 영향력을 구분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The America’s failure in Iraq cannot be isolated from non-material and ideational factors or discourses on America’s international role and ideas on how to use its military force in the service of national security objectives. This research attempts to trace a causal link between American strategic culture and strategic choices made by policymakers during Operation Iraqi Freedom.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culture, while America’s ambition for nation-building in Iraq may find its root in America’s cultural tradition, assertive and unilateral approach the U.S. took can be ascribed to the influence of neo-conservatives, who in the aftermath of 9/11 rose to dominate policy-academia-military networks. Unchallenged beliefs in its miliary power and legitimacy in exercising the power had also adverse impact on military strategies. Blind faith American decision makers and military strategists alike had on military technology compelled them in effect to separate politics and military dimension, which rendered American strategic culture reverted to the anti-Clausewitzian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