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여성 간 친밀성의 서사화 유형과 그 담론적 양상에 대해 물을 때, 모녀 관계는 친족의 경계 내부에서 가장 빈번하게 호출되는 문제적 유형이다. 본고는 모녀 관계의 특수성에 대한 젠더 심리학과 페미니스트 사회학의 젠더화된 삶과 동일시 역학에 대한 성찰을 경유하여, 모녀 간 친밀성을 모의하는 오정희와 백수린의 서사적 사례들이 보여주는 젠더 정치적 면모와 차이 지점들을 분석했다. 여기에서 모녀 간 친밀성의 양식은 어머니와 딸 사이의 상상적 동일시의 구도로 표출되며, 주로 오정희의 사례에서 전경화되는 이러한 병리적 동일시는 ‘여성’과 ‘모성’에 대한문화적 기대에 깃든 젠더화된 담론적 저변을 드러내는 마스터플롯으로서 형상화된다. 또한 백수린의 사례는 이러한 기존의 플롯들에 기반한모녀 간 친밀성의 전략이 끝내 실패하게 되는 서사적 귀결을 보여줌과동시에, 동일시의 역학으로 수렴되지 않는 친애의 친밀성 양식을 새롭게제시함으로써 모녀 간 친밀성의 플롯들을 정치적 계쟁에 부친다. 이는젠더 정치의 오랜 화두이자 동시대적인 의제로 자리하는 모녀 관계에있어서, 여성 간 친밀성이 어떻게 새롭게 상상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과 함께 대안적 친밀성의 가능성 지대에 대한 탐색을 요청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very problematic type of‘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 terms of ‘female-female kinship’snarrative‘. Psych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genderprovide insights into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rough studiesof gendered lives and identification dynamics―and mechanisms anddifferentiation patterns such as incorporation, projection, introjection,sympathy, empathy, etc―. This paper analyzes two narrative cases ofOh Jeong-hee and Baek Su-rin through the perspective of ‘kinship'snarrative’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e key point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differences in gender andnarrative aspects that can be observed in these two cases. Accordingto the results, the pattern of mother-daughter kinship is expressed inthe ‘imaginary identification’ composition between mother and daughter. This pathological identification, foregrounded in first novels, isdescribed as a master-plot of the discourse underlying the culturalexpectations of the gendered female subject. On the other hand, secondnovel shows the ending that the strategy of making the kinship of mother-daughter relations based on these plots will eventually fail, andalso presents a new form of kinship that does not converge or reducewith the dynamics of identification. Through this the plots of kinship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are in political litige. This paperreemphasizes gender politics and contemporary aspects of the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asks how ‘female-female kinship’can be reimagined. And a search for the spatial possibilities ofalternative intimacy is called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