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80년대 혁명 주체로 떠오른 ‘민중’은 그 시대 저항시를 창작했던 김남주의 시에도 핵심적으로 그려졌다. 그의 산문에서 ‘민중’을 직접적으로언급한 것을 굳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그는 시에서 ‘어머니’와 ‘아버지’로 민중에 대한 열렬한 관심을 드러냈다. 그러나 그렇게 직접적인 표상으로 ‘가족’과 ‘민중’의 연관성이 나타나고 있음에도, ‘민중’은기존의 ‘민중’ 개념에 기대어 분석되는 경향이 있다. ‘민중’은 분명하게도공동체 차원의 개념으로, 그 안의 개인의 속성과 관계가 존재한다. 김남주가 상정한 ‘민중’은 공동체 차원에서 이야기 될 때 비로소 혁명 주체이자 혁명 이후 사회를 이끌어갈 주체의 대략적인 형상을 추론해 볼 수있을 것이다. 그래서 본고는 그의 시 중 가족과 관련된 시를 대상으로하여, ‘가족’과 ‘민중’ 표상을 분석해 보고 미래 공동체로서의 ‘가족-민중’공동체 형상을 추론해보고자 한다.


"Minjung", which emerged as a revolutionary subject in the 1980s,was also portrayed on a poetry by Kim Nam-ju, who created thepoetry of resistance in that era. Even without detailed informations onhis direct reference to "Minjung" in his prose, he revealed his keeninterest in the “Minjung” with his "Mother" and "Father." But despitethe relation between "Family" and "Minjung" appearing in such directrepresentations, "Minjung" tend to be analyzed against existing"Minjung" concepts. "Minjung" is obviously concept based on acommunity, and there is a relationship with the individual's attributesin it. “Minjung”, that Kim Namju had thought about, if it isconsidered about as the community, will only be able to infer theshape of the revolutionary entity and the one who will lead societyafter the revolution. So, This research tries to analyze the "Family"and "Minjung" representations, and deduce the shape of the"Family-minjung" community as a future community, targetingpoetries related to the "Fam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