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노동자계급의 종말에 대한 예언이나 선언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은 정확하게 노동계급이 진정으로 무엇인가에 대해 이들이 공유하고 있는 오해이다. 각 부문적 범주를 초월할 수 있는 저항적 노동계급의 힘에 대한 전망을 밝혀주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역사적으로 제안해 온 계급에 대한 복잡한 이해 대신에 오늘날의비판자들은 노동자를 단순히 특정한 직업을 가진 사람으로 이해하는 ‘노동계급’에대한 아주 협소한 관점에 의존한다. 이 글에서는 지난 40여 년간 신자유주의 득세와세계 노동계급의 많은 패배로 인해 희미해진 계급 형성에 대한 근본적 마르크스주의의 관점을 다시 재개함으로써 계급에 대한 잘못된 사고들을 논박하고자 한다. 나는 노동계급에 대한 충분히 역동적인 이해를 발전시키는 데 핵심은 바로 사회재생산의 이론체제라고 주장할 것이다. 노동계급을 생각할 때, 작업장 밖에서의 노동자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이론적 문제는 이러한 작업장 밖의노동자의 존재와 자본가의 직접적 지배하에 놓인 그들의 생산적 삶의 존재 간의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다. 이 두 영역의 관계는 우리가 미래 계급투쟁의 전략적 방향을 고민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Recent declarations or predictions concerning the demise of the working class share a common misunderstanding of what the working class really is. Instead of the complex understanding of class historically proposed by Marxist theory, which discloses a vision of insurgent working class power capable of transcending sectional categories, today’s critics rely on a highly narrow vision of a “working class” in which a worker is simply a person who has a specific kind of job. This essay refutes this spurious conception of class by reactivating fundamental Marxist insights about class formation that have been obscured by four decades of neoliberalism and the many defeats of the global working class. The key to developing a sufficiently dynamic understanding of the working class, I will argue, is the framework of social reproduction. In thinking about the working class,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at workers have an existence beyond the workplace. The theoretical challenge therefore lies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existence and that of their productive lives under the direct domination of the capitali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spheres will in turn help us consider strategic directions for future class strugg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