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삼회향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1722)으로, 그 역사는 17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회향은 오늘날에는 거의 소멸된 상태지만, 영남지역의 고승들에 의하면, 1970년대까지는 왕성하였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현재 아랫녘수륙재에서 복원・전승하고 있는 <삼회향작법>이 주목된다. 2015년, 2017년, 2019년의 아랫녘수륙재의 삼회향을 분석해본 결과, 2015년, 2017년에는 절차가 많이 생략되었고, 의식도 대폭 축소되었지만. 2019년에는 생략과 절차의 누락 없이,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게 체계화되었다. 그러나 영남지역에 전승되는 삼회향작법을 부각시키기 위해 경상도를 대표하는 민요와 민속가락을 대폭 수용하였다. 영남 삼회향작법이 마산지역에서 전승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의 민요와 민속을 최대한 수용하는 것이 올바른 복원을 위한 방법이 될 것이다.


The first record of Samhoehyang was Cheonji myeongyang Suryukjaeui Beomeumsanbo collections(1722) by Jihwan monk. The history dates back to 1700. Samhoehyang is almost extinct today, but according to the old monks in Yeongnam area, it was vigorous until the 1970s. In this respect, <SamhoehyangJakpeop>, which is currently handed down in Araetnyeok‒Suryukjae, is noteworthy. In 2015, 2017, and 2019, the procedure was largely omitted, and the consciousness was greatly reduced. But in 2019, it was structured and structured as a whole without omission and omission of procedures. However, in order to highlight the three‒way play method passed down in Yeongnam area, it accepted the folk songs and folk songs representing Gyeongsang‒do. Since the Yeongnam Samhoe‒Hyangjak method is handed down in Masan area, it will be a good way to restore the local folk songs and folklore as much a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