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중국 중소 제조업 종업원들의 고용형태가 고용불안정성 및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 하였다.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와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고용형태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고용불안정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중국 하남성의 중소 제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2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43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들 중 결측치가 많은 설문지 30부를 제외하고 21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교환이론에 기초한 예측과 같이 비정규직 직원들은 정규직 직원들보다 고용불안정성 및 이직의도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불안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형태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고용불안정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지원의 하위요인인 상사지원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동료지원은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 제조업 비정규직의 고용불안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mployment types on the job insecurity and labor turnover intention of the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employees.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and norm of reciprocity, this paper suggests that temporary employees exhibit more job insecurity and labor turnover intention than regular employees.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that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job insecurity and labor turnover intention, and those relationships are positively moderated by social support. job insecurity had a mediating effect on employment types and labor turnover intention. To test the hopotheses proposed,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employees working for the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270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and 243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fter excluding 30 unusable cases which had unacceptable level of missing data, 213 cases were used for analysis. Firstly, Results in this study supported the expectations of social exchange theory that temporary employees would exhibit more job insecurity and labor turnover intention than regular employees. Secondly, the results supported the hopotheses that job insecurity is positively related to labor turnover intention. Thirdly, job insecurity had a mediating effect on employment types and labor turnover intention. Fourthly, colleague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job insecurity and labor turnover intention, but supervisor support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job insecurity and labor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employment types and employees' job insecurity in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firms, which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create a detailed plan for reducing insecurity and actively implement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