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60년대와 1970년대 펑크를 비롯한 하위문화subculture는 주로 백인룸펜 노동자 계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퍼져나가면서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남성중심 밴드의 음악과 남성적 저항이었다. 여성이 처음으로 락문화와 하위문화에진입하게 되면서, 펑크여성들은 지배문화와 부모세대분화로부터의 일탈이라는 남성적 저항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남성 중심적 성폭력과 성희롱에 대해 포르노그래피적 배드걸bad-girl 스타일을 구성하였다. 하위문화 연구자 딕 헵디지는 여성문화라는 이유로, 여성주의는 1960년대 반포르노 페미니즘은 포르노적 여성펑크에 대해서 적절한 관심을 기울일 수가 없었다. 이에 이 논문은 랑시에르의 ‘불화(不和, dissensus)로서의 정치’라는 사유를 여성주의적으로 전유하여, 계급적으로나 성적으로 사회에서 있으나마나한 존재로 여겨져온 여성펑크의 스타일을 분석하며 그 의미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즉 기존사회의남성적 로고스인 남성/여성, 정숙녀/타락녀, 가정/거리street의 이분법적 분할과 경계, 지배시스템을 조롱하며 파괴하는 배드걸 스타일을 통해 여성펑크의 거리 위불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역사적인 여성 복식운동이 주로 여성의 성적대상화에 대한 반대로서 비성적인 의복운동 - 현재의 탈코르셋을 포함 – 이었던것과 달리, 여성펑크의 몸의 저항, 아래로부터의 저항은 드물게 남성의 성적 대상화자체를 정면에서 공격하며 조롱하던 저항으로서, 비록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논리적 전략은 아니지만, 일종의 생존전략적 불화로서 사회 내 여성성/남성성, 정숙녀/ 타락녀라는 몸 감각의 재구성을 시도한 정치적인 저항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is trying to study the political, philosophical meaning of female punks in 1970’s in U.K. who fought for equality. Before female punks burst on the scene in 70’s, a woman’s world of rock’n roll had little chance of even being taken seriously, let alone being viewed on equal terms. With punk, women were able to negotiate a social and ideological space for themselv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oppositional dress. Unlike their male counterparts, women in youth subcultures had to contend not only with the dominant culture, but also patriarchal structures that were almost invariably replicated within the subculture itself. Punk women engaged en masse the forbidden activity of confusing sexual messages, they looked like pornography prostitutes(bad girl) but were something else. In doing so they pinpointed the masquerade of feminity, the unholy alliance of feminity, naturalness, good taste and good behavior. Punk women jettisoned conventional prettiness and sought instead to look tough, menancing, and threatening. This bad girl style attacked the distribution of male/female, virtuous woman in the family/the fallen woman in the streets, allowing charismatic female punks to break through and speak with authority. This means dissensus or disagreement against male-centered logos, which is Politics, according to J. Ranciè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