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각 대학교 별로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는 과학기술 글쓰기 이론의 배타적 공존을 넘어 공통적 기반 구축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각 대학교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에서 사용하는 주교재들을 토대로 현행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통합적 과학기술 글쓰기 교육 구축을 위한 몇몇 방안을 살펴보았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기술 글쓰기는 ‘KEC2015’를 따라 시행되고 있으나 교수−학습 목표의 혼란, 표시 항목간 상호 연결성 및 설명ㆍ논증 방법론 제시 결여, 과학기술 글쓰기의 변별성 확보 미약, 협력 글쓰기 방법론 부재, 사회적 맥락과 필요성 이해 항목 누락 등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학에세이 및 제품 매뉴얼 쓰기를 통한 협력 글쓰기 방법 교육, 연구계획서 작성을 통한 논문 쓰기 방법 교육, 시청각 매체 및 수식 쓰기 교육, 단문 쓰기를 통한 디지털 종합물로서의 글쓰기 교육, 프레젠테이션 작성과 발표를 통한 종합적 표현과정 교육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별을 넘어 통합적 교육 방안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building a common foundation beyond the exclusive coexistence of various technical writing theories being implemented by each university. First,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technical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main text currently used in technical writing education at various universities. Secondly, We looked at several ways to build an integrated technical writing education method. The technical writing that i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is in accordance with KEC2015. However, problems such as confusion in teaching-learning objectives, lack of interconnection among marking items, remove presentation of explanation and argument methodologies, lack of securing differentiation of technical writing, lack of cooperatve writing methodologies, and omission of social contexts and needs.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esented education on how to collaborative write by writing scientific essays, education on how to write papers through writing research plans, education on writing audio-visual media and modifiers, education on writing as a digital composite through short writing, and education on comprehensive expression processes through presentation writing and presenta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integrated education measures beyond individ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