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서구의 포스트모던 그림책들이 출판되며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러나 대부분 서구 그림책들을 대상으로 교육적 측면과 일러스트레이션 측면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우리 그림책을 대상으로 한 문학적 측면의 논의가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탈정전화, 유희성, 경계 넘기, 자기 반영성, 혼성성과 같은 포스트모던적 특징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박연철의 『피노키오는 왜 엄평소니를 꿀꺽했을까』를 대상으로 그 서사 전략을 고찰하였다. 대표적인 포스트모던 서사 전략은 실험적 구성 전략, 그림 서사의 경계 넘기 전략, 자기 반영 전략이다. 실험적 구성 전략은 서술자를 이중으로 등장시켜 부록으로 뺄 수도 있는 진실을 말하는 피노키오를 속 액자 이야기에 포함하는 이중 액자 구성을 말한다. 이로써 이야기의 존재 기반이 되는 서술자의 내기가 거짓이며, 서술자가 들려주는 이야기 또한 거짓이라는 것을 드러내는데, 원텍스트인 효제문자도 이야기를 탈정전화시키며 작품의 의도가 유희에 있음을 분명히 한다. 그림 서사의 경계 넘기 전략은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된다. 그림이 비선형적인 글의 선형성을 대체하고, 글과 또 이어지는 그림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던 그림책 그림에서 벗어나 마치 시각예술로서의 그림처럼 조형성을 부각하며 그림의 독자성을 강조한다. 이 책은 ‘효제문자도’라는 원텍스트를 패러디했다는 점에서 자기 반영의 전략을 그 근간으로 한다. 이 외에 서술자의 개입과 논평 삽입, 미장아빔과 같은 자기 반영 전략이 두드러진다. 이야기를 여닫는 서술자는 이야기의 재현성을 부정한다. 이러한 부정은 효제문자도 각 이야기 말미마다 반복 삽입되는 서술자의 논평으로 더욱 강화된다. 미장아빔은 다양한 방식으로 등장한다. 이같은 서사 전략은 각각 또 서로 어우러져 궁극적으로 책을 읽는 즐거움과 해석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독자의 적극적 개입을 유도하고자 한다.


Recently, western postmodern picture books have been published, and there is a lot of discussion about them. However, they are mostly educational and illustration-oriented discussions. It is imperative to discuss the literary side of our picture books, which are developing day by day. In response, this study reviewed the epic strategy against “Why did Pinocchio dampen Eomfengsoni?” by Park Yeon-cheol, which intensifies postmodern characteristics such as post-canonizing, playfulness, crossing boundary, self-reflection and hybridity. A typical postmodern narrative strategy is experimental configuration strategy, a strategy for crossing boundaries of pictorial narrative, and self-reflection strategy. An experimental configuration strategy refers to a double-framed composition that includes Pinocchio, who double-faced the narrator and tells the truth that may be subtracted as an appendix, in the inner frame story. In this manner, it reveals that the narrator’s bets on the basis of the story’s existence are false, and that the narrator’s stories are also false. And the original text, ‘Hyojemunjado’, also calls the story away and makes it clear that the intention of the work is in entertainment. The boundary-crossing strategy of picture narrative is considered in two respects: Painting replaces linearity of nonlinear writing and emphasizes the identity of painting as if it were a painting as a visual art, breaking away from picture book painting that existed amid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nd subsequent painting. The strategy of self-reflection forms the basis of the book, given that it parodied the original text of ‘Hyojemunjado.’ In addition, self-reflection strategies such as narrator intervention, comment insertion, and Mise-en-Abyme are prominent. The appearance of a narrator who begins and ends the story denies the reproducibility of the story as a imitation of reality. Denial of this reproducibility is further reinforced by the narrator’s comments, which are also inserted at the end of each story. Mise-en-Abyme comes in many different ways. Each of these narrative strategies is also intended to blend in to provide the pleasure of reading and diversity of interpretation, and to encourage active involvement of 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