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장정일의 독특한 글쓰기는 그의 성장 배경을 바탕으로 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시인 장정일의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쳐, 그의 시에서 빈번하게 드러나고 있는 시인의 종교의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여 본고는 선행연구에 덧붙여 장정일 시의 특징 중 하나인 ‘자기반영적 글쓰기’에서 드러나는 시인의 종교의식을 살펴보았다. 장정일 시에 등장하는 종교적 기표는 1980년대의 정호승, 김정환 등의 시인들과 ‘예수’ 기표에서 확연히 구별되었다. 당시 시인들은 ‘예수’를 통해 시인의 욕망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에 1980년대 시의 종교성 맥락에서 장정일 시의 종교성을 분석하는 일은 그의 이단 의식을 조명하는 일이 된다. 정통 기독교에서 이단으로 치부되어 사회로부터 의도적으로 은폐되고 소외된 어린 장정일의 종교에서 시인의 이단 의식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개인의 내면을 폭로할 수 있었던 고립된 문학가에게 왜 메타시를 썼는가 하는 질문이 아닌, 1980년대의 장정일 시가 어떻게 메타시로 읽히는가에 대한 답을 제시할 수 있게 한다. ‘장정일’은 독서라는 장치 사용의 길잡이를 스스로 터득함으로써 1980년대 문학장의 속죄 장치 속에서 탈주한 것이다. 그의 시의 종교적 기표에는 시가 가질 수 있는 권력을 전복시키고자 하는 시인의 욕망과 시의 자율성을 존속하기 위한 시인의 고투가 담겨있다. ‘예수’로 대표되는 장정일 시의 종교적 기표는 1980년대 문학장에서 육체의 실존에 대한 질문의 기표로써 탈주하는 종교적 이단자로 읽을 수 있다.


The distinctive writings of Jang, Jung-il have been discussed mainly based on his growth background. However, no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f poet, which had crucial effect on the growth of poet Jang, Jung-il and appeared frequently in his poems. Therefore, in addition to a previous study, this paper examined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f the poet appearing in “self-reflective writing”, one of characteristics of Jang’s poems. The religious imagery and symbols appearing in Jang’s poems are distinguished from “Jesus” symbolism of 1980s poets such as Jeong, Ho-seung and Kim, Jung-hwan. At that time, because the poets revealed their desires through Jesus, analyzing Jang’s poems in the religious context of 1980s poetry meant shedding light on his heretical mindset. It was ascertained that the heretical mindset of the poet stemmed from the religion of young Jang, which was intentionally hidden and alienated from the society as it was regarded as heresy by the orthodox Christianity. This provides an answer to a question, why Jang’s poems in 1980s are read as meta-poems, rather than to a question, why the isolated writer who exposed the private inner side wrote the meta-poems. By self-mastering a guide of using an instrument called book-reading, “Jang, Jung-il” escaped from the atonement device of literary field in 1980s. The religious imagery and symbols of his poems contained the poet’s struggle for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autonomy of poems and the desire of the poet who wanted to overthrow the power that poems could possess. The religious symbols in Jang’s poems, which are represented by “Jesus” is a symbol of question for existence of physical body in the literary field of 1980s and can be read as an escaping religious here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