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치환의 문학세계를 세 시기로 구분하는 기존 해석에 따르면 1950년대는 현실의 삶과 사회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진 중기에 해당한다. 그러나 한국전쟁 직후부터 50년대 말까지 유치환 문학에서 목격되는 가장 큰 특징은 ‘신’에 대한 관념의 등장이다. 유치환의 문학은 1930년대 ‘생명’을 중심으로 인간 삶에 대한 존재론적 의미를 질문하는 데서 시작되었고, ‘생명’의 문제의식은 ‘무한’의 벽에 부딪힘으로써 유한성에 대한 자각과 허무의식으로 굴절되었다. 하지만 1950년대 이후 그의 문학은 인간의 존재함에 대한 질문을 바꾸었는데, ‘신’ 관념이 그 변화의 계기이다. 유치환의 ‘신’은 종교적 의미의 ‘신’과 달리 초월적 존재가 아니다. 그는 세상 만물을 존재하게 하는 의지, 자연을 존재하게 하는 의사(意思)와 능력을 ‘신’이라고 불렀다. ‘신’을 강조함에 따라 유치환 문학은 눈에 띄게 변했다. 인간의 ‘존재’에 대한 사유가 근대적 휴머니즘의 범위를 벗어나고, ‘신=자연’이라는 범위 안에서 ‘인간’과 ‘자연’ 간의 위계가 부정되기에 이른 것이다. 이 시기, 유치환은 인간과 자연을 분리하고 인간에게 존재론적 우위를 부여하는 사고방식에 정면으로 도전했고, ‘신=자연’이라는 인식 속에서 존재론적 평등에 기초하여 글쓰기를 이어나갔다. 때문에 동일한 자연적 사물을 소재로 시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초기의 시와 1950년대의 시는 양상이 전혀 다르고, 유한성에 대한 자각이나 죽음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확연히 다른 태도를 보인다. 이런 까닭에 1950년대 유치환의 문학은 근대적 휴머니즘이나 실존주의와는 다른 맥락에서 재해석되어야 하며, 넓은 의미에서의 동양사상과의 관계 속에서 평가되어야 재검토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the existing interpretation that divides the Yu Chi-hwan’s literary world into three periods, the 1950s were the mid-term period in which interest in real life and society is marked. However, the biggest feature seen in Yu Chi-hwan’s literature from shortly after the Korean War to the end of the 50s is the emergence of an idea about “God.” Yu Chi-hwan’s literature began in the 1930s by asking questions about the existential meaning of human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of “life” was refracted with a sense of awareness and nihilism about finiteness by hitting the wall of “infinite”. But since the 1950s, his literature has changed the question of human existence, and the ‘God’ concept is the trigger for that change. Unlike “God” in religious meaning, Yu Chi-hwan’s “God” is not transcendent. He called the will, the mimd and the ability to make nature exist “God”. With the emphasis on “God”, it has changed markedly in Yu Chi-hwan’s literature. The reason for human existence is beyond the scope of modern humanism, and within the scope of “God = Nature” the hierarchy between “humane” and “nature” is denied. At this time, Yu Chi-hwan confronted the mindset of separating humans from nature and giving humans an existential advantage, and continued writing based on existential equality in the perception of “God = Nature”. Therefore, despite writing poems about the same natural object, the early poems and poems of the 1950s have very different aspects, and they show a distinctly different attitude in their perception of finiteity or their perception of death. For this reason, the 1950s literature of Yu Chi-hwan’s should be reinterpreted in a context different from modern humanism or existentialism, and should be evaluated in a broad sense in relation to Oriental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