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우리나라 독거노인의 주거복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를 연구함으로써 구체적인 정책적 함의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을 통해 코딩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은 주거복지를 시설입소로 인식하고 있고, 요양병원과 요양원을 주거시설로 인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시설입소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 둘째, 이웃 등을 통한 시설입소에 대한 부정적인 간접 경험, 새로운 적응과 변화에 대한 두려움 등이 부정적 인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셋째, 다인실 거주 및 집단생활, 수발위주 및 의존생활, 자기결정부재 및 관계단절 등 노인주거시설의 제도적 운영의 한계, 그리고 건강악화와 자녀부담 완화를 위한 어쩔 수 없는 입소 상황이 부정적 인식을 가중시키고 있다. 넷째, 입소 전후로 독거노인의 자립생활 유지가 가능하도록 주거복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획기적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다섯째, 1인실거주, 역할수행, 관계유지, 당사자 선택권존중 등으로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운영이 개선되고, 살던 동네에서 언제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주거시설이 운영되며, 시설입소 시기를 늦출 수 있도록 집수리・복지용구와 재가서비스의 확대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시설입주 후에도 독거노인의 인격적 존엄성이 보장될 때, 독거노인의 주거시설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어 자발적 시설입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으로 고독사가 예방될 뿐만 아니라 Aging In Place 실현 가능성이 높아진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using depth interview with life manager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re as follows : First, the elderly living alone recognized housing welfare as facility admission, both geriatric hospital and nursing home were recognized as residential facilities, and generally have negative perception of facility admission. Second, negative indirect experience of facility admission through neighbors and great fear of new adaptation are contributing to negative perception. Third, group life, dependent life, lack of self-determination, disconnection of relationships are adding to the negative perception. Fourth, social awareness of housing welfare should be drastically changed so that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can maintain their independent lives. Fifth, the operation of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senior citizens should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one-person residence,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and the respect of self-determination. government needs to provide more support for home repairs and welfare equipment to help delay the timing of facility admission. Sixth, the awareness of residential facilities is improved only when the personal digni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guaranteed through voluntary facility entry as necessary. Aging In Place can be realized, preventing isolation and solitude, and maintaining the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