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2012년 개정된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4판 단축형(Parenting Stress Index Fourth Edition Short Form: PSI-4-SF)을 번역하고 표준화하여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4판 단축형(Korean-Parenting Stress Index 4th Edition Short Form: K-PSI-4-SF)을 제작하였다. 먼저 이전 판(K-PSI-SF)의 번역상 어색함을 해결하고 각 문항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PSI-4의 모든 문항을 3단계 번역 절차에 따라 전면 재번역하고, 단축형에 해당하는 문항을 발췌하여 최종 문항을 완성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만 1세-12세 자녀를 둔 부모로, 전국의 20개 도시에서 1,333명을 모집하여 K-PSI-4-SF와 유아용 혹은 아동용 양육효능감 척도, 건강 관련 삶의 질 척도(SF-36), 건강관련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약 2주 후 사전 동의한 일부 참가자에게는 K-PSI- 4-SF 재검사 또는 한국판 영유아 행동평가 척도(K-CBCL 1.5-5) 또는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6-18),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HQ-9), 범불안장애 선별도구(GAD-7)를실시하였다. 우선, K-PSI-4-SF의 요인구조가 타당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 일치도 계수와 검사-재검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각 하위척도 및 총 스트레스 점수 간 상관관계를 산출해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는 K-PSI-4-SF와 K-PSI-SF, 양육효능감 척도, K-CBCL, PHQ-9, GAD-7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변별타당도는 정신과적 진단을 받은 자녀의 부모와 정상발달 자녀를 둔 부모 간 양육스트레스 차이검증을 통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K-PSI-4 단축형이 국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데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따른 연구적 및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Korean-Parenting Stress Index 4th Edition Short Form (K-PSI-4-SF) was developed by translating and standardizing the Parenting Stress Index Fourth Edition Short Form (PSI-4-SF). To revise the translational issues of the previous version (K-PSI-SF) and clearly convey the meaning of each item, all the items of PSI-4 were re-translat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translation procedure. The final items were completed by excerpting the statements corresponding to the short for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33 parents of children age 1-12 recruited from 20 different cities across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K-PSI-4-SF, Parental Confidence Questionnaire for Preschoolers or Children, SF-36, and Health-related Questionnaire. Approximately two weeks later, some of the participants who had previously agreed responded to the K-PSI-4-SF a retest or the K-PSI-SF, K-CBCL 1.5-5 or K-CBCL 6-18, PHQ-9, and GAD-7. To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PSI-4-S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correlation were examined to verify reliability. Convergence validit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mong subscal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PSI-4-SF and K-PSI-SF, Parental Confidence Questionnaire, K-CBCL, PHQ-9, and GAD-7 was examined to verify concurrent validity. The difference of parenting stress level was examined between parents of children diagnosed with mental illness and of those not diagnosed to verify discrimination validity.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K-PSI-4 Short Form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in measuring the stress of par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