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심화 단계의 글쓰기 연구가 단계별 글쓰기 교육의 의미 있는 성과로 가시화되기 위해서는 개별 대학의 교육 현황에 관한 사례 보고가 양적으로 축적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군산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심화 단계 글쓰기 교과목의 운영 현황을 진단하고, 군산대학교의 학습자 수준과 교육 목표에 적합한 교재 개발의 방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군산대학교 <창의적 글쓰기> 교재는 글쓰기의 심화 단계라는 교과목 개설 목적과 의사소통, 사고력 함양이라는 학습 성과를 개발의 기초 사항으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체계적이고 다각도로 사고할 수 있도록 텍스트와 활동 문제를 조직하였다. 텍스트는 지식의 확산성과 연계성,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활동 문제에서는 다양한 자료를 통해 갖춘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문제해결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군산대학교 <창의적 글쓰기> 교재의 독창성은 4부로 구성된 주제 아래장별 읽기 자료를 풍부하게 배치하고 지역성을 고려한 점이다. 교수자가 학과별 특성과 관심사,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읽기자료의 주제와 난이도를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교재의 의의가 교과목의 학습성과로 성취되려면 교수자의 깊고 넓은 배경지식과 디지털 시대의 이해, 학습자의 주체적 참여가 필수적이다.


The textbook in Kunsan University's “Creative Writing” set thepurpose of opening the subject, which is an advanced stage of writing,and the learning outcomes of communication and thought-building as thebasis for development. The text was constructed to access sequentially,taking into account the spread of knowledge, connectivity, and the levelof learners. Activities were designed to raise questions based onbackground knowledge obtained from various data and to foster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process, the students were allowed to develop digitalcommunication skills and exercise their autonomy. The originality of Kunsan University's “Creative Writing” textbooktakes into account the richness of reading materials and a studyquestions that crosses the academic spectrum, and the consideration oflocality. In order for the significance of the textbook to be achievedthrough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subject, it is essential that theprofessor have deep and wide background knowledge, and mustunderstand the Digital Age. Also, learners' self-participation is ess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