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학생의 서사 체험의 질적 제고와 실존적 잘삶을 위한 서사능력의 증진에 초점을 두어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서사교육 내용의위계화 범주를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생애적 관점에서의 학생 발달, 서사 체험의 질적 제고와 문학의 생활화, 교육내용 위계화 범주들의 입체성, 입체성에 따른 성취기준 재배열 및 조정 등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서사 활동을 통한 서사 체험의 질적 제고와 문학의 생활화를 통한 학생의 실존적 삶 개선, 잘삶 등을 지향한다. 이러한 관점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간 서사교육의 내용요소 위계화 관련 범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과서 학습 활동, 서사구성 요소, 서사 작품 특성, 서사교육 내용 요소(학습체험), 교사나 동료 학생, 서사능력과 다양한 배경, 삶의 총체적 이해, 문학적 문화 고양, 실존적잘삶 등. 이러한 범주에 따라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6-7학년군]으로묶어 서사교육의 내용과 관련된 성취기준들을 다음과 같이 마련하였다. [7국05-01] 문학은 심미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소통 활동임을 알고문학 활동을 한다. [7국05-02] 문학적 표현과 구성요소의 효과를 바탕으로 작용을 수용하고 생산한다. [7국05-03] 작품 창작의 다양한 배경을 이해하고 작품에 다양한 해석을 하며 작품을 감상한다. [7국05-04] 작품의 수용이 생애의 차원에서 보다 나은 삶을 설계하고 지향하는 것과 관련됨을 이해한다. [7국05-05] 자신의 가치 있는 경험을 개성적인 발상과 표현으로 형상화하면자신의 삶을 성찰한다. [7국05-06] 문학능력, 다양한 배경, 삶에 대한 이해 등이 서사 활동을 촉진하고 서사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음을 이해한다. [7국05-07] 서사 활동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서사 체험이 교사나 동료 학생의 영향, 서사 활동에서의 자아효능감과 연관됨을 이해한다. 이러한 성취기준들 가운데 [7국05-01]과 [7국05-02], [7국05-03] 등은 기존의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성취기준들을 그대로 활용하거나 약간 변형한 것들이다. 이것들은 서사교육의 목표인 서사능력을 구성하는 요소인 ‘작품의 이해와 해석’, ‘감상과 비평’에 초점을 둔 것이다. 그리고성취기준 [7국05-05]는 서사능력을 구성하는 요소인 ‘모방과 창작을 통한 생산’에 초점을 둔 것이다. 한편 [7국05-4], [7국05-06], [7국05-07] 등은 ‘공유·소통을 통한 체험의 확장’에 초점을 두면서, 삶의 총체적 이해, 문학적 문화 고양, 실존적 잘삶 등을 고려하여 새롭게 설정된 성취기준들이다. 이러한 성취기준들을 새롭게 설이러한 성취기준들 가운데 [7국05-01]과 [7국05-02], [7국05-03] 등은 기존의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성취기준들을 그대로 활용하거나 약간 변형한 것들이다. 이것들은 서사교육의 목표인 서사능력을 구성하는 요소인 ‘작품의 이해와 해석’, ‘감상과 비평’에 초점을 둔 것이다. 그리고성취기준 [7국05-05]는 서사능력을 구성하는 요소인 ‘모방과 창작을 통한 생산’에 초점을 둔 것이다. 한편 [7국05-4], [7국05-06], [7국05-07] 등은 ‘공유·소통을 통한 체험의 확장’에 초점을 두면서, 삶의 총체적 이해, 문학적 문화 고양, 실존적 잘삶 등을 고려하여 새롭게 설정된 성취기준들이다. 이러한 성취기준들을 새롭게 설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간 서사교육 내용의 위계화에 관한 연구 519정한 것은 서사교육의 내용들은 실존적 잘삶, 삶의 총체적 이해, 문학적 문화의 고양, 서사 체험의 질적 제고 등이 교육내용의 위계화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In this article, we prepared a hierarchical category of sixth gradeelementary school and first grade middle school narrative teaching byfocusing on enhancing the quality of students' experience in narrative andenhancing their ability to write for real life. The main considerations forthis ar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a lifetime perspective, the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the narrative experience and thestandardization of literature, the three dimensionality of the hierarchicalcategories of educational content, and the rearrangement and adjustmentof the achievement criteria according to the three dimensionality. Andultimately, i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arrative experience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narrative and improve the existential life ofstudents through the life of literature. Based on this view, the content elements of the narrative teachingbetwee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first grade of middleschool are presented as follows.;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narrativecomponents,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works, elements of narrativeteaching (learning experience), teachers or fellow students, essay writing skills and various backgrounds, overall understanding of life, literaryculture enhancement, existential well-being, etc. According to this category, the 6th and 1st graders of elementaryschool and middle school were grouped into [6th and 7th graders] toprepare the following performance criteria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narrative teaching. [7 Korean05-01] To engage in literary activities, knowing that literatureis a variety of communication activities based onaesthetic experiences. [7 Korean05-02] Accepts and produces actions based on the effects ofliterary expression and components. [7 Korean05-03] Understand the various backgrounds of the creation ofworks, make various interpretations of works, andappreciate works. [7 Korean05-04] I understand that the acceptance of the work is relatedto designing and pursuing a better life at the level oflife. [7 Korean05-05] When one embodies one's valuable experience withindividual ideas and expressions, it reflects on one'slife. [7 Korean05-06] Understand that literary ability, various backgroundsand understanding of life can promote narrativeactivities and develop narrative skills. [7 Korean05-07] Understand that the narrative experience closely relatedto the narrative activity is associated with the influenceof a teacher or fellow student, and the sense ofself-efficacy in the narrative activity. Among these achievement criteria, [7 korean05-01], [7 korean05-02], and [7 korean05-03] are some of the same or minor modifications to theexisting performance standards corresponding to sixth grade and firstgrade in middle school. These focus on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ability to write,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k, and the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 And the achievement criterion [7korean05-05] focuses on 'production through imitation and creation' thatconstitutes the capacity of an narrative. Meanwhile, [7 korean05-4], [7 korean05-06] and [7 korean05-07] focuson 'expansion of experience through sharing and communication' and arenewly established standards for achievement in consideration of overallunderstanding of life, enhancement of literary culture, and existentialwell-being. The achievement criteria were newly established because thecontents of the narrative teaching should be considered in the hierarchicalprocess of the teaching contents, such as the existing well-being, thetotal understanding of life, the promotion of literary culture, and the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the narrative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