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각설이와 <각설이타령>의 유래와 연원을 밝히고, 판소리와민요에서 전승된 사설을 살펴 그 변화상과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먼저 그간 <각설이타령>과 관련된 연구사를 통해 각설이의 어원과 유래, 내용 등을알아보았다. 그리고 박지원의 <광문자전>과 강이천의 <한경사>을 통해 걸인집단이 ‘각설이’로 변화해 나가는 과정을 유추하였다. 18세기 서울 시정에는 수준낮은 예능이나마 이를 통해 구걸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포착할 수있고, 특히 광문은 걸인으로서 다양한 연희종목을 다루거나 구사할 줄 알았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이러한 광문의 태도에서 각설이 집단이 가진 구걸과연희의 결합양상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각설이타령>은 신재효의 <흥보가>와 <변강쇠가>에서 나타난 것이 가장 오래된 사설이라 할 수 있다. 신재효가 보여준 19세기 <각설이타령>은각설이패의 생김새, 도입부, 장타령(전타령), 각설이패춤, 잘한다타령의 순으로 이어져 연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의 판소리에서는 <흥보가>에서만 <각설이타령>이 발견되는데, 대표적으로 박봉술본, 박동진본, 김연수본의사설을 살펴보았다. 박동진과 김연수가 신재효의 사설을 차용하면서 부른 데비해, 박봉술은 변화된 <각설이타령>을 보여주어서 과도기적 양상을 확인할수 있었다. 박봉술본에서는 현대와 같은 도입부와 각설이가 된 유래, 입방구부분이 나타나며, 이러한 내용이 현대에 전형적으로 이어지고 있음도 알 수있었다. 20세기 후반의 민요 <각설이타령>은 전시대의 장타령과 잘한다타령 등을수용하면서 도입부의 전형성이 이루어지고, 각설이의 유래와 각종 타령 등이삽입되면서 유흥적 상황을 고조시켰다고 보인다. 특히 핵심은 장타령과 숫자타령, 잘한다타령, 각설이가 된 유래 등이며 이러한 공통분모를 바탕으로 다양한 변주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각설이타령> 사설을 통해 신명과 애환의 놀이판을 만들어내는 미학을형성한다고 보았다. 각설이타령은 도입부와 각종 삽입가요들을 통해 신명을자아내도록 재담과 말놀이 등을 그 전략으로 사용하여 한바탕 놀이판을 만드는 구실을 하였다. 반면 자신들의 불쌍한 출신 배경과 동냥의 고달픔도 함께 담아, 동정과 연민에 호소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seek for the changes and meanings by revealing theorigin and source of Gakseori(Beggar) and <Gakseori Taryeong(Beggar’sSong)>, and also examining the editorials transmitted from Pansori andfolk songs. First, through the existing researches related to <GakseoriTaryeong>, this study understood the derivation, origin, and contents ofGakseori. And this study also inferred the process in which a group ofbeggars was changed into ‘Gakseori’ through <Gwangmunja-jeon> byPark, Ji-Won and <Hangyeongsa> by Kang, I-Cheon. Despite thelow-level of entertainment, the streets of Seoul in the 18th centuryshowed the looks of people who were begging. Especially, this study paidattention to the fact that Gwangmun was able to handle or make use ofdiverse theatrical items as a beggar. This attitude of Gwangmun showedthe aspect of combination between begging and play in the group ofGakseoris. The oldest editorials of <Gakseori Taryeong> might be the onesshown in <Heungbo-ga> and <Byeongangsoi-ga> by Sin, Jae-Hyo. The<Gakseori Taryeong> of the 19th century by Sin, Jae-Hyo was entrainedin the order of appearance of a group of Gakseoris, introduction, JangTaryeong(Jeon Taryeong), dance by the group of Gakseoris, and JalhandaTaryeong. In the modern Pansori, the <Heungbo-ga> was the only one showing the <Gakseori Taryeong>, and this study representativelyexamined the editorials of Park, Bong-Sul’s version, Park, Dong-Jin’sversion, and Kim, Yeon-Soo’s version. Park, Dong-Jin and Kim,Yeon-Soo borrowed the editorial by Sin, Jae-Hyo while Park, Bong-Sulshowed the transitional aspect by showing the changed <GakseoriTaryeong>. The version by Park, Bong-Sul showed the origin of thecurrent introduction and Gakseori, and the part of small talks, which wastypically continued in modern times. As the folk song <Gakseori Taryeong> in the late 20th centuryaccepted songs like Jang Taryeong and Jalhanda Taryeong of thepreceding time, the typicality of the introduction was formed. As theorigin of Gakseori and all sorts of Taryeong were inserted, theentertaining situation was heightened. Especially, the core included JangTaryeong, Sutja Taryeong, Jalhanda Taryeong, and the origin ofbecoming Gakseori, and based on these common denominators, diversevariations were performed. Through the editorial of <Gakseori Taryeong>, the aesthetics ofcreating a place for play filled with fun, joys, and sorrows was formed. The Gakseori Taryeong created a place for play by using jokes and wordplay as a strategy to arouse fun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all sorts ofinserted songs. On the other hand, they also appealed to people’ssympathy and pity by including their pitiful background of birth anddifficulties in beg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