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예비 국어교사들의 쓰기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실증적인 합의점을 찾기 위해 쓰기 평가 효능감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예비국어교사들의 쓰기 평가 효능감, 쓰기 평가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쓰기 평가 수행 경험에 대한 의견, 쓰기 평가 결과에서 나타나는 일관성과 엄격성등의 변인을 수집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쓰기 평가 효능감이 예비 국어교사들이 보여주는 쓰기 평가 변인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는것이 이 연구의 1차적인 목적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국어교사 양성과정에서어떠한 점이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예비 국어교사 양성과관련한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집단 비교를 통해 쓰기 평가 효능감과 엄격성, 평가 범주별로 주관적으로 느끼는 어려움 및 실제 채점 수행의 적합도등을 살펴본 결과, 쓰기 평가 효능감과 쓰기 평가에서 나타나는 엄격성(적합도)에서는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평가 범주별로 확인된 적합도와예비 국어교사들이 느끼는 평가 범주별 모호함의 정도 역시 밀접한 관련이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보다 면밀히 해석하기 위해 예비 국어교사들이 쓰기 평가 수행 과정에서 느낀 어려움을 자유기술식으로 반응하게하였고, 이러한 반응 중 연구 주제와 관련된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자유기술식 반응을 탐색한 결과, 현재 사범대에서 제공되고 있는 쓰기 평가 경험만으로는 쓰기 평가 효능감이나 쓰기 평가 전문성을 형성하는 것이 충분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writing evaluation was noted to findempirical connotatio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writingevaluation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Specifically, the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llect variables such as the effectiveness ofwriting evaluation by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the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in the writing evaluation process andopinions on their experiences in conducting writing evaluations, andconsistency and rigor in the results of writing evaluations. The groupcomparison looked at the efficacy and rigour of the writing evaluation,the difficulty of feeling subjective by the assessment category, and thesuitability of performing the actual grading, and found no relevance in thewriting evaluation efficacy and the rigour shown in the writingevaluat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suitability identified for eachassessment category and the degree of ambiguity felt by prospective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also not closely related. In order tointerpret these findings more closel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onducting write evaluationswere brought to a free technical response,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subject of the study were looked at during these responses. Exploring the free technical responses,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writing evaluationexperience provided by the College of Education did not suffice to form awriting evaluation efficacy or writing evaluation expert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