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한글본 천주가사 중 지금까지 관련지어 설명된 적이 없는 필사본 「소경탄식가」(1931.03.)와 이것을 개작하여 등사본으로 간행한 「소경자탄가」(1958.10.)의 표기와 어휘 표현의 변화를 대조하여 같은 시기의 문헌에서 볼 수 있는 언어적 차이의 원인을 찾는 것이다. 이는 저작자의 연령이나 출생지와도 연관될 수 있고, 두 문헌의 집필 중간에 공표된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년)’의 영향일 수도 있다. 두 문헌을 대비하는 탐구 과정 속에서 이를 밝혀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국어 시기에 간행된 두 문헌에서 마치 다른 시기의 작품처럼 보이는 언어적 요소들을 대조하는 것에 역점을 두었다. 언어의 변화가 일순간에 모든 사람들의 말과 모든 문헌의 표기에 반영되지는 않는다는점, 종교 관련 문헌의 보수성으로 인하여 언어 변화가 더디게 반영되었을 것이라는 점, 원본의 저작자인 박제원이 79세에 창작한 작품으로 저작 당시보다 고답적인 언어 표현이 구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원작자는 경상도 출신이고 수정자는 전라도 출신이라는 점 등을 그 원인으로 추정하며 두 작품을 대조 연구한다.


The first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by way of comparison, amanuscript of Catholic verse, Sokyungtansikga (1931.03.) and its revisedtranscription, Sokyungjatanga (1958.10.), concerning which comparativeanalysis has not been duly attempted so far. This paper hereby elucidatessome peculiarities of the two documents in the history of Koreanlanguage, and also puts forward to the academic field of Koreanlinguistics that the linguistic study on the literature of the KoreanCatholic Church, may enlarge the scope of Korean studies. The final goal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illuminating the periodization of the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importance of its reconsideration, andto more exquisitely describing that history, by proving that the linguisticphenomenon as found in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written in the modern times for the common people be equal to thecharacter of modern Korean language. Phonological change, though sovehement, does not immediately change the language of all people nor isreflected in the notation of every literature. It is evident that lexicaldiffusion is found in the region of every language in all ages. But allsuch words as enable to be changed is not concurrently changed but oneby one and steadily. Sound changeappears to spread, in that manner, tothose words. For this reason, we need to observe the diverse sources ofKorean language, including the Protestant and the Roman Catholic documents that deserve the much more interest of scholars belonging tothe field of the study. Christian literature in Korea, published in theperiod of upheaval with regard to the change of Korean language, tendsto show its excessively conservative notation, which illustrates the periodof modern Korean language. The linguistic study of that literature likethis paper, thus, is conduciv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periodization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