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article examines the inherent assimilation of the Christian view in Hinduism by attempting to textualize or canonize the Hindu texts during the British colonial era. The paper starts with an effort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origin of the word Hindu and Hindu scriptures from both the Indian and Christian perspective. Though, certain practices in Hinduism performed uniformly throughout India but, even then, it does not seem to fall into the category of religion in the strict Western sense of belief. Hinduism, however, projected as a unified religion on the patterns of a similar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by the Orientalists, colonial writers, and missionaries. Section III of the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Colonialism and Christian missions in general as both corroborated and needed each other for political and financial support in a foreign country. Section IV endeavors to analyze the translated Hindu tex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see the indoctrination of the Christian perspectives in defining the certain concepts in Hinduism, which had very different connotations or sometimes completely diverse meanings in Hindu traditions. Also, the role of Socio-religious reform and Nationalist’s leaders in popularizing the concepts of Hinduism, which were mostly propagated by the colonial administration.


이 논문은 영국 식민지 기간동안 힌두 문헌을 원전화하고 경전화 함으로써 힌두교에 대한 그리스도교 관점의 내재적 동화를 다루고 있다. 첫째 단원은 인도인과 그리스도교인의 두 관점에서 힌두 단어와 힌두 경전의 의미와 기원을 이해하려는 노력으로 붙어 시작하고 있다. 인도 전체를 통해 동일하게 행해지는 어떤 특정한 수행일지라도 그것은 서양의 엄격한 인상과 신념에서는 종교적 범주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힌두교는 오리엔탈리스트와 식민지 작가 그리고 선교사들에게는 그리스도교와 유사한 이해의 패턴에서 단일한 종교의 모습으로 비쳐졌다. 이 논문의 셋째 단원은 일반적으로 외국에서 협업을 하며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지원을 필요로 하는 식민주의와 그리스도교 선교의 상관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넷째 단원은 식민지 기간 동안 번역된 힌두 경전에 매우 다른 함의 또는 힌두 전통에서 때때로 상당히 다양한 의미들을 보여주는 힌두교의 특정 개념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그리스도교 관점이 주입되어 있음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사회 종교적 개혁과 힌두교 개념을 대중 화하는데 앞장선 국가주의자들의 역할이 식민지 정부에 의하여 대부분 크게 확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