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경로과정에서 휴대전화 중독과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연구목적의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KYPS) 7차 년도(2016) 자료에서 대학교 1학년생 총 1,348명을 분석대상으로 선별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SEM)이 선택되었으며, 매개경로의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 방식을 응용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으로 도출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직접경로의 유의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사회적 위축이 휴대전화 중독과 또래애착을 경유하여 삶의 질을 예측하는 매개경로의 유의도가 입증되었다. 제시된 분석결과를 근간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질에대한 사회복지학적 개입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mediating efect of the mobile phone adiction and the atachment with per from within the path that the social withdrawal have afected the quality of life of an university student. For performing this purpose, a total of 1,348 cases aplying to a first grade of university were chosen as an analysis target from the 7th(2016) wave of KYPS. This study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s an analysis method and aplied the sobel test for verifying the signifcance of mediating paths.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se analysis methods were as folows. Firstly, this study demonstrated the direct path’s signifcance that the social withdrawal have predicted the quality of life of an university student. Secondary, this study proved the mediating efects’s signifcance conected by the mobile phone adiction and the atachment with per. Based on the this founding, this study sugested the intervention plan asociated with social welfare and the implications for a folow-up study.